<span class="hanja">金</span><span class=hangul>(금)</span>사과, 이젠 대형마트서 1개씩 산다

소량구매로 장바구니 부담 줄여 1인 가구 증가에 선택권도 확대
<span class=\"hanja\">金</span><span class=hangul>(금)</span>사과, 이젠 대형마트서 1개씩 산다 소량구매로 장바구니 부담 줄여 1인 가구 증가에 선택권도 확대 세종= 조윤진 기자 소비자들이 대형마트에서 사과를 한개씩, 낱개로 구입할 수 있게 된다. 사과값 폭등에 따른 장바구니 부담을 줄이면서 1인 가구 고객들의 선택권을 넓혀준다는 취지다. 26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범부처 농수산물유통 구조개선 태스크포스(TF) 는 대형마트 내 사과 낱개판매를 검토하고있다. 현재 이마트와 농협 하나로마트 같은 주요 마트에서는 1봉이나 1박스 등 묶음 단위로만 팔고 있는데 이를 1개씩 살 수 있게 유통 방식을다양화하겠다는 것이다. 이르면 올해부터 소비자들은 대형마트에서 사과를 낱개로 살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변화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과일값 급등이 주효했다. 3월 사과가격은 전년 대비 88%폭등했다. 서울강서구에 사는 직장인 박 모(29) 씨는사과 8입짜리 1봉지를 샀다가 밖에서시간을 보내는 일이많아져 한 달뒤 3개를 버린적이 있다 며 마트에서 사과를50%할인해도 나중에 몇 개를 버리게되면 결국 할인받은 의미가 없어지는것같아 망설이게 된다 고 지적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대형마트와 슈퍼마켓 등에서 벌크형 낱개판매 를하고있다. 묶음 포장을 하지 않고 통째로 과일을 들여와 쌓아 놓은 뒤 소비자들이원하는 개수만큼 가져갈 수 있게 하는식이다. 별도의 포장이나 복잡한 유통단계도 거치지 않아 소비자가격을 떨어뜨리는 효과도 있다. 국내 대형마트의경우 벌크형 판매를종종 진행하지만 사과를 쌓아 놓고 판매해도 4개에 1만원 같은 식으로 사실상 묶어 팔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현재 대형마트에서 사과를 쌓아두고 낱개로 판매하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며(낱개 판매를) 유통업체 등과 협의중 이라고 말했다. 1인 가구와 딩크족(자녀가 없는 맞벌이 부부) 의 증가세도 낱개 판매의 주요요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1인 가구 수는 750만여가구로 전체 가구대비 비중은 역대 최고치인 34.5%였다. 전체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비중도46.4%다. 육류보다 저장성이 떨어지는과일 채소를 대량으로 살 유인이 떨어진셈이다. 김성훈 충남대 농업경제학과 교수는 못난이 사과처럼 별도의 선별이나포장이 들어가지 않으면 원가 인하 효과가 있을 수있다며 사과를 한 개만 구매하고 싶은 소비자들의 선택권도 넓어질 것 이라고 말했다. 통계청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