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사 돼볼까... 자격증 발급 8배 폭증

식집사 열풍에 수목관리 직업 각광 인생 2막 준비 50~60대 응시 최다 반려식물 치료기관 찾는 시민 늘어 작년 서울시 클리닉 8000건 진료
나무의사 돼볼까 자격증 발급 8배 폭증 식집사 열풍에 수목관리 직업 각광 인생 2막 준비 50~60대 응시 최다 반려식물 치료기관 찾는 시민 늘어 작년 서울시 클리닉 8000건 진료 <4년새> 이승령 기자 반려식물을 기르는 이른바 식(<span class=\"hanja\">植</span><span class=hangul>(식)</span>) 집사 열풍이 불면서 식물 관련 이색직업도 인기를 끌고 있다. 전문적으로 수목을 진료 치료하는 나무의사 가 중장년층 사이에서 은퇴 후 직업으로 각광받고있는가하면 시민들이 쉽게 찾을 수있는식물클리닉도 사랑을 받고 있다. 26일 한국임업진흥원에 따르면 2019년 1회를 시작으로 2023년 9회까지 치러진 나무의사 자격증 시험에 응시한 인원은 2023년말 기준 총1만2324명이다. 시험에 통과해 나무의사자격증을발급받은 인원은 2019년 52명에서 2023년470명으로4년간803%나 폭증해큰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응시자의 연령대는 10~80대 이상까지 전 연령대를 아우르지만 특히 5060대의 응시 비율이 눈에 띄었을 뿐만아니라 증가세도 가장뚜렷했다. 2019년 1회차 시험에서 461명이 지원했던 5060대의 수가 2023년 9회 시험에서는1276명으로 176%증가했다. 나무의사 자격시험 응시자는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수목진료 관련 학과의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한 사람또는 수목치료기술자 중 경력자, 산림조경 분야자격 소지자여야 한다. 더불어나무의사양성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해야만 한다. 높은자격요건과함께두 차례에 걸친고난도시험때문에1차시험 합격률 평균이 16.2%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고령화 시대에 은퇴 후 제2의 인생 을 준비하는 중장년층이 늘어나며나무의사가 새로운 노후 일자리로 각광받고있는 모양새다. 두 차례 나무의사 자격증시험에 도전한 끝에 합격한 곽 모(51) 씨는시험이 어렵지만 근무 강도에 비해 상당한급여 수준이 마음에 들어 준비하게 됐다 며무엇보다 나이가 들어서도 할 수 있다는점, 능력에 따라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으로 다가왔다 고 전했다. 올해 산림청이 정한 나무의사 노임 단가는1일기준 31만2459원이며 나무병원 취업또는 개업 시 지급받는 기본자격수당 100만 원 등을 합치면 연봉은 실적에 따라4000만 원~1억 원 수준으로 파악된다. 가정에서 기르는 반려식물을 위한 치료 기관에도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서울시 종로구 은평구 동대문구 양천구등4개자치구는반려식물클리닉센터를 열고 병든 반려식물에 대한 진료 및 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식물과 관련된 다양한 강좌를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개소 첫해만 8000건이 넘는 진료 및치료를 수행했으며 인기에 힘입어 올해는서울 전역에 5개의반려식물클리닉을추가로 개원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이 2022년 반려식물에 대한소비자인식을 조사한 결과 반려식물에대해 전혀 모른다고 답한 비율이 2021년17.6%에서 2022년 12.1%로 감소했다. 또 농림축산식품부가 2023년 발표한2022년도 화훼 재배현황 조사결과 에 따르면 반려식물, 실내인테리어 소품 등의소비 확대로 분화류의 판매량이 2020년대비 7.0%, 2021년 대비 3.3%늘어나는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을 만큼 반려식물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뜨겁다. 종로구 반려식물클리닉에서 일하고있는 유정혜 반려식물전문가는 반려동물을 기르다 하늘나라로 떠나보내면 상실감이 큰데 식물은 상대적으로 덜하기도 하고 기르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수 있다 며 앞으로도 희귀 반려식물을중심으로 시민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관련 산업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내다봤다. 한국임업진흥원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