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앞세워 'PEF간 손바뀜' 급증 "기업을 자본차익 수단화" 비판도

대기업, 고금리에 M&A 소극적 사모펀드 세컨더리 선호 더 강화 단순 수익극대화 추구 방식 탈피 질적성장 등 총체적 경영 필요
자금 앞세워 PEF간 손바뀜 급증 기업을 자본차익 수단화 비판도 대기업, 고금리에 M&A 소극적 사모펀드 세컨더리 선호 더 강화 단순 수익극대화 추구 방식 탈피 질적성장 등 총체적 경영 필요 박시은 기자 최근 사모펀드(PEF) 가 들고 있는 기업 매물을 다른 사모펀드가 사들이는 세컨더리 거래가 활기를 띠고 있다. 주요기업(SI전략적투자자) 들이 불확실한경영 상황을 이유로 인수합병(M&A) 에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PEF간 손바뀜만 늘어나고 있는 것. 업계에서는 기업을 인수해 성장시킨 뒤 해당 기업을 장기적 관점에서 성장시킬 수 있는 매수자에매각해 투자 수익을 내던PEF본연의 전략이 수익 극대화 에만 초점이 맞춰지고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세컨더리 투자는 사모펀드, 벤처캐피털(VC) 등이 보유한 기업의 지분을 전략적투자자가 아닌 또 다른 사모펀드나VC펀드에 매각하는 거래를 말한다. 유동성이 필요한 기존 투자자는 세컨더리펀드에 지분을 판매해 투자금을 회수하고, 새로운 투자자는 검증된 기업의 지분을 할인된 가격에 매입할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글로벌 고금리와인플레이션에 따라 투자와 회수 환경이악화되면서 세컨더리 선호 현상은 더 강화되는 모습이다. 올해만 해도 △제뉴원사이언스 △UTK△지오영 △비즈니스온 △KJ환경 등다수의굵직한딜이PEF간 거래로 이뤄졌다. 그동안 PEF들의투자금 회수 수단은 M&A와 기업공개(IPO) 가 주를 이뤘지만 이제는 세컨더리 딜도 회수 방안의 한 축으로 자리잡았다. 과거 이런 대어들의 인수자는 대부분기업이었다. 과도하게 높은 기업가치 등으로 매각이 쉽지 않아 보이는 매물들도결국에는 대기업의 품에 안기는 사례가많았다. 대기업들은 탄탄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통 큰 베팅도 마다하지 않는 M&A큰손 으로 시장을 주도했다. 하지만 최근 수년 동안 분위기가 많이달라졌다. 거시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기업 투자 활동이 눈에 띄게 위축된 여파다. 한동안 신사업 발굴에 적극적이었던대기업들이 이제는 선택과 집중 을 위한사업 재편에 집중하면서 신규 투자 활동이 크게 줄었다. 그 사이 PEF운용사들은 펀드 규모를늘리며 M&A시장에서 점점 더 비중을늘려왔다. 삼정KPMG에 따르면전 세계세컨더리마켓 거래량은올해 1500억 달러(약211조 원) 에 달해2018년의750억 달러(약 105조 원) 대비 두 배가 될것으로 전망된다. 김이동 삼정KPMG 딜 부문 대표는그나마 투자의지가 있는 기업들도국내보다는 해외에서 기회를 발굴하는 곳이많아 국내에서 PE 간 세컨더리 거래는앞으로도계속 늘어날것 이라며 PE운용사들도다른 PE에 팔가능성을 염두에두고 매각에 착수하는 경우가많다 고 설명했다. 문제는 자금 회수 시장에서 세컨더리거래 증가가 누적될 경우 기업이 산업적시너지와 동력을 얻지 못하고 자본거래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수익 극대화에 방점이 찍힌 PEF들은 무조건 기업을 다시 팔아야 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전략적투자자가 인수하기전까지 해당 기업은 잠재적 매물 취급을받을 수밖에 없다. 장기적인 미래 비전보다는 3~5년 뒤 단기 안목에 매몰된다는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기업가정신이 필요한 제조업의 경우 PEF보다는 기업인들이 경영하는 게 더 낫다는의견도 있다. 임성철 비사이드 대표는 과거 비상장사 위주로 인수했던 사모펀드들이 최근상장사를 인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며 단순히 수익 극대화만 추구하던과거 방식에서 벗어나 지배구조나 환경사회 지배구조(ESG), 주주 환원 등도신경 쓰면서 총체적인 경영을 할 필요가있다 고 말했다. 투자은행 업계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