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사업 다각화 ... 김동원의 승부수

베트남 보험 인니 은행 진출 이어<span class=\"hanja\">美</span><span class=hangul>(미)</span>자본시장서 직접 상품 판매나서정체된 국내시장 넘어 먹거리 확보
글로벌사업 다각화 김동원의 승부수 베트남 보험 인니 은행 진출 이어<span class=\"hanja\">美</span><span class=hangul>(미)</span>자본시장서 직접 상품 판매나서정체된 국내시장 넘어 먹거리 확보 한화생명이 국내 보험사 최초로 미국증권사인 벨로시티(VelocityClearing, LLC) 지분 75%인수에나선 것은 한화금융이 글로벌 종합금융그룹으로 커 나가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세계 최대금융시장인 미국에 진출하는 한편 한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기존 글로벌 네트워크를 미국으로 확장해 더 큰 시너지를 창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화생명의 한 관계자는 국내 보험사 최초로 미국 증권사를 인수함으로써 미국에서 직접 금융 상품을 소싱하고 판매할 수 있는중요한교두보를확보했다 고말했다. 특히 이번 인수는 김승연 한화 회장의 차남인 김동원(사진) 한화생명 사장이 주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사장은 최고글로벌책임자(CGO) 로 인도네시아 진출 등한화금융의 글로벌화를 이끌고 있다. 20일 한화생명에 따르면 이번에 인수한 벨로시티는 2003년 뉴저지에서 설립돼 뉴욕을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일반적인 리테일 증권사가 아니라 기관투자가 중심으로 서비스를 전개하는 회사다. 청산 결제 서비스, 주식 대차거래, 프라임 브로커리지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제공하고 있다. 특히 청산(clearing) 서비스는 미국 3300개 증권사 중 벨로시티를 포함해 약 80개 업체만이 라이선스를보유하고 있다. 이서비스는 다른 금융기관이나 증권 브로커를 대신해 매매거래의채권 채무를확정해주는기능으로, 여러 규제를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진입 장벽이 존재한다. 한화생명 관계자는벨로시티는 자체 정보기술(IT) 역량과미국 내 네트워크와 정보력, 우수한 인력을보유해 디지털 플랫폼사업을 할 수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면서 최근에는 한국과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미국 상장주식 중개 사업을 확장하며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고 설명했다. 한화생명의 이번 벨로시티 인수의 핵심 목표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로 이어진 기존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해 시너지를창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화생명이 미국에 직접 진출하는 게 글로벌금융그룹 도약에 효율적이라고 판단한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생명보험 시장을넘어 수익을 다변화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한화생명은 한미 양국 금융 당국의 인수 허가로 인수합병(M&A) 이 완료된후에도 벨로시티의 기존 경영진과 계속협력할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탁월한 경영 능력으로 회사를 지속 성장시켜온기존 경영진과 협력해 인수 이후 회사를 조기에 안정시키고 핵심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직접 활용하겠다 고 밝혔다. 김 사장은 저출생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로 국내 생보 시장이 정체한가운데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성장을위한돌파구를열고있다. 이번인수도 이같은 전략의 일환이다. 실제 한화생명은2008년 베트남 진출 이후 2023년 누적흑자 전환을 기록해 국내 보험사가 단독출자해 설립한 해외 법인 중 최초로 본사에 배당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 4월에는인도네시아의 노부은행(NobuBank) 에지분(40.0%) 을 투자하며 국내 보험사중 처음으로 해외 은행업에 진출, 글로벌종합금융그룹으로 가는 다리를 놓기도 했다. 회사 관계자는 정체 상태에 직면한국내 생보 시장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그간 성장 시장인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동남아시아에서 고객 확장 전략을 폈다고 말했다. 맹준호 기자 <span class=\"hanja\">美</span><span class=hangul>(미)</span> 한화생명 한화생명 n증권사 벨로시티 인수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