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달 개편안 내놓겠다지만 업계와 간담회 일정도 아직 못잡아 현 추세라면 빨라야 내년 3월 집행
탄핵정국에 전기차 보조금 또 지연
정부, 내달 개편안 내놓겠다지만 업계와 간담회 일정도 아직 못잡아 현 추세라면 빨라야 내년 3월 집행
세종= 서민우 박신원 기자
국내 전기차 시장이 내년에도 연초부터 보릿고개를 맞을것으로 전망된다.
계엄과 탄핵 정국에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기준 마련이 늦어지면서 소비자의 구매심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조금집행이 내년 3월부터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0일 환경부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1월 중에 2025년도 전기차 보조금 지급기준을 포함한 이용 활성화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당초 계획한연내 발표 일정보다 늦어졌다.
문제는 정부 발표가 뒤로 밀리면서 내년 1~2월 전기차 보조금 집행이 사실상어려워졌다는 점이다.
통상 정부는 보조금 개편안 초안을 만들어놓고 자동차 업계와 비공개 간담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다.
이후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등 부처 간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확정한다.
지방자치단체와의 국비 보조금 매칭과 완성차 업체의 가격 책정까지마무리되면 현장에서 보조금이 집행된다.
이 과정에 보통 두세 달이 소요된다.
정부는 1월 중에 보조금개편안을 내놓겠다는 입장이지만 아직까지 업계와의 간담회 일정도 잡지 못한 것으로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지자체 협상과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가격 전략 수립일정까지 고려하면 사실상 내년 3월은 돼야보조금 집행이 가능할 것 같다 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에 환경부 관계자는 다음 주 중으로 업계 의견 수렴을 위한 비공개간담회를 진행할 예정 이라고말했다.
문제는 완성차 업계가내년도 올해처럼 1~2월에보조금 없이 전기차를팔아야 한다는 점이다.
국내 업체들은 발등에불이 떨어졌다.
중국의 전기차 브랜드비야디 가 한국 시장 진출을 선언하면서 긴장감이 높아진 가운데 보조금의 지급마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국내 전기차 시장은 올 초에도 보조금 확정이 늦어지면서 혹독한 겨울을 보낸 바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정부, 내달 개편안 내놓겠다지만 업계와 간담회 일정도 아직 못잡아 현 추세라면 빨라야 내년 3월 집행
탄핵정국에 전기차 보조금 또 지연
정부, 내달 개편안 내놓겠다지만 업계와 간담회 일정도 아직 못잡아 현 추세라면 빨라야 내년 3월 집행
세종= 서민우 박신원 기자
국내 전기차 시장이 내년에도 연초부터 보릿고개를 맞을것으로 전망된다.
계엄과 탄핵 정국에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기준 마련이 늦어지면서 소비자의 구매심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조금집행이 내년 3월부터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0일 환경부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1월 중에 2025년도 전기차 보조금 지급기준을 포함한 이용 활성화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당초 계획한연내 발표 일정보다 늦어졌다.
문제는 정부 발표가 뒤로 밀리면서 내년 1~2월 전기차 보조금 집행이 사실상어려워졌다는 점이다.
통상 정부는 보조금 개편안 초안을 만들어놓고 자동차 업계와 비공개 간담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다.
이후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등 부처 간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확정한다.
지방자치단체와의 국비 보조금 매칭과 완성차 업체의 가격 책정까지마무리되면 현장에서 보조금이 집행된다.
이 과정에 보통 두세 달이 소요된다.
정부는 1월 중에 보조금개편안을 내놓겠다는 입장이지만 아직까지 업계와의 간담회 일정도 잡지 못한 것으로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지자체 협상과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가격 전략 수립일정까지 고려하면 사실상 내년 3월은 돼야보조금 집행이 가능할 것 같다 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에 환경부 관계자는 다음 주 중으로 업계 의견 수렴을 위한 비공개간담회를 진행할 예정 이라고말했다.
문제는 완성차 업계가내년도 올해처럼 1~2월에보조금 없이 전기차를팔아야 한다는 점이다.
국내 업체들은 발등에불이 떨어졌다.
중국의 전기차 브랜드비야디 가 한국 시장 진출을 선언하면서 긴장감이 높아진 가운데 보조금의 지급마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국내 전기차 시장은 올 초에도 보조금 확정이 늦어지면서 혹독한 겨울을 보낸 바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