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쓰레기가 노다지로…기업 ‘廢경제’에 꽂히다

美·EU 탄소세 도입·韓도 탄소중립 천명

폐배터리·폐플라스틱 차세대 먹거리로

K배터리 3사 폐전지 재활용 사업 강화

친환경 변신 SK지오센트릭은 5조 베팅

사진 설명사진 설명




기업들이 폐플라스틱·폐배터리 등 애물단지 취급을 받던 ‘폐(廢)경제’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고 사업 진출과 대규모 투자에 나서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세를 도입하고 우리 정부도 탄소 중립을 천명한 만큼 차세대 친환경 분야를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리튬이온 배터리 자원 순환 시장은 지난 2019년 기준 15억 달러(약 1조 7,000억 원)에 불과했지만 오는 2030년에는 181억 달러(약 21조 원)로 연평균 8% 이상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0년 전기자동차가 보급된 뒤 2018년부터 배터리 반납 물량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2025년에는 8만 4,000여 개가 쏟아져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SK이노베이션·삼성SDI 등 ‘K배터리’ 3사는 배터리 투자와 함께 폐배터리 분야의 역량도 강화하고 있다. 2050년 배터리 시장 규모가 600조 원에 달하면서 폐배터리 활용 분야도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CATL과 함께 글로벌 수위를 다투는 LG에너지솔루션은 폐배터리를 재사용해 만든 ‘전기차용 충전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공장을 오창에 설립했다. 배터리 사업을 분사하는 SK이노베이션은 차세대 성장 사업으로 배터리재활용(BMR)을 낙점해 내년 초 시험 공장을 완공하고 2025년 상업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삼성SDI도 폐배터리 전문 기업과 협업해 관련 사업을 강화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폐배터리는 리튬·니켈·구리 등을 추출해 재활용하거나 배터리 팩이나 모듈 단위로 재사용된다. 현대차그룹도 OCI·한국수력원자력 등과 협력해 폐전지를 활용한 ESS를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접목하는 실증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폐플라스틱도 대기업들이 눈독을 들이는 분야다. 친환경 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한 SK지오센트릭은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에 향후 4년간 5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기존 석유화학 업체에서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주도하는 글로벌 도시 유전 기업으로 탈바꿈하겠다는 것이다.

롯데케미칼은 2024년까지 울산 2공장에 1,000억 원가량을 투자해 11만 톤 규모의 화학적재활용페트(C-rPET) 공장을 만들기로 했으며 SK케미칼은 화학적 재활용 방식으로 만든 코폴리에스터 ‘에코트리아 CR’ 소재를 이달부터 상업 생산한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