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반도체 구조조정 표류, 회의론 확산

반도체 부분의 구조조정은 과연 이루어질 것인가?평가기관 선정 문제를 지리하게 끌고오던 현대전자와 LG반도체의 통합문제는 결국 5일의 정부.재계 간담회에서도 한치의 진전을 만들어내지 못한 채 표류를 계속하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구조조정 시한인 11월말을 앞두고 열린 이번 정부.재계 간담회에서는 그래도 반도체 통합과 관련해서 평가기관이라도 확실하게 선정하는 뭔가 새로운 알맹이가 나올 것으로 기대됐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양사의 평가를 위한 실사작업에 걸리는 시간 등을 감안하면 일정대로 반도체 통합을 매듭짓는다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양사를 70대 30의 지분으로 통합하는 구조조정은 사실상 물건너 간 것아니냐는 성급한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평가기관 선정에 처음부터 중재자로 나섰던 전경련이 평가기관으로 천거됐던 에이 티 커니와 베인 앤드 컴퍼니를 LG와 현대가 모두 거부하자 제3의 평가기관으로아서 D 리틀사를 제시하는 적극성까지 보였으나 무위로 돌아간 마당에 더 이상 무슨합의가 가능하겠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놓고 일각에서는 양사가 원천적으로 통합의지가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시각도 비치고 있다.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처음부터 잘못 끼워진 단추이며 반도체 통합이라는 문제가 도대체 어디서부터 나오게 됐는지 모르겠다는 말들이 업계에서는 간간히 흘러나오고 있음도 이와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재계와의 간담회에서 이달말까지는 경영주체를 선정하라는 강력한 언질을 하는 것을 잊지않았다. 정부는 재계의 자율협의로 국민앞에 한 반도체 통합은 반드시 이행해야한다며자율조정에 실패한다면 여신중단과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등 당초의 프로그램대로진행시켜나갈 것이라고 반복해서 강조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최후통첩과도 같은 언질을 당사자인 현대와 LG가 어떻게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두 회사는 통합문제가 대두됐을 때부터 지금까지 시종일관 매출액과 부채, 경영능력 등 각종 부문에서 각자의 유리한 점을 내세우며 당연히 경영주체는 "내가 돼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합의가 이루어질 틈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과잉중복투자라는 문제성을 일으켰던 장본인인 반도체 시장의 불황이 끝나가는듯한 분위기도 통합의 발목을 잡는 부분이다. 데이터퀘스트와 인스타트, 세미코 등 주요 반도체 시장 조사기관들은 최근 2-3년간의 반도체 불황이 종료되고 내년 하반기부터 D램 반도체시장은 회복세로 반전될것이라는 전망을 일제히 내놓아 통합협상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다. 양사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통합이 안되면 워크아웃되는 것이 더 기업개선도 되고 좋은 것 아니냐는 표현도 숨김없이 튀어나온다. 통합때 외국으로부터의 독점시비,양사의 기술과 장비의 차이점으로 인한 통합시너지효과에 대한 의문 등도 통합의 역풍들이다. 앞으로 256메가 D램 등 차세대 반도체 설비를 구축하려면 20억-30억달러의 투자가 소요되는데 통합되지 않을 경우 엄청난 중복과잉투자가 초래되고 또다시 과잉공급을 촉발할 것이라는 통합 옹호론도 여전히 입지를 잃지 않고 있다. 5일의 정부.재계 간담회후 孫炳斗전경련 부회장이 발표문 작성과정에서 '정부측은 5대그룹의 노력이 미흡했다고 지적했다'는 부분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고 康奉均청와대 경제수석이 "마음대로 하라"며 회의장을 떠난 사실은 향후 반도체 실타래가 어떻게 풀릴 것인지를 예고하는 상징처럼 들리기도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