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단기 부동자금 767조8000억 사상최대

불확실성 시대… 기업도 개인도 돈 씀씀이 줄어<br>자산버블로 금융시장 혼란… 실물경제 침체 악영향 우려


최근 경기침체로 경제와 금융시장 전반에 걸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기관에 잠시 머무르는 돈인 단기 부동자금이 760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계와 기업 등 경제 주체들이 돈을 쓰지 않고 미룬 탓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7일 내놓은 '최근 부동자금의 급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 현재 국내 단기 부동자금은 767조8,000억원(현금 포함시 814조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5월 최고치보다 9조7,000억원(현금 포함시 26조4,000억원) 많은 금액이다.


금융기관별로 보면 예금은행이 517조1,000억원(67.3%)으로 가장 많았고 증권 129조6,000억원(16.9%), 투신 110조3,000억원(14.4%), 종금 10조8,000억원(1.4%) 등의 순이었다.

경제 주체별로는 가계의 단기 부동자금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단기 부동자금은 2009년 말 340조3,000억원에서 올해 1∙4분기 376조2,000억원으로 늘어난 반면 기업의 경우 같은 기간 231조원에서 239조3,000억원으로 8조3,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단기 부동자금 비율은 2009년 금융위기 당시 65%에서 2012년 말 현재 58%로 다소 낮아졌다. 하지만 보고서는 향후 경기침체가 계속되면 비율이 급격하게 올라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단기 부동자금이 급증한 것은 경기침체로 불확실성이 커져 개인과 기업이 돈을 쓰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기 부동자금은 경제 주체들의 불안심리로 장기 투자처 대신 단기 금융상품에 몰린 자금을 뜻한다. 통상적으로 금융기관의 6개월 미만 수신액 합산으로 추산하며 현금통화까지 포함할 때도 있다.

부동자금이 많으면 실물경제 침체와 금융시장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경제 주체들이 자금을 단기로 운영하는 경향이 높아지면 장기 자금이 필요한 기업 쪽으로 자금이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언제든지 빠져나갈 수 있는 특성 때문에 손쉽게 자산버블을 형성하거나 붕괴시켜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박덕배 연구위원은 "단기 부동자금 급증으로 자산버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자금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며 "경제 주체들의 불안심리로 단기 부동자금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기업과 가계의 소비·투자 심리를 회복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