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9월 4일] 일본 자민당의 몰락과 500호점

박정부(다이소아성산업 회장)

일본 중의원 선거에서 54년간 이어져온 자민당의 몰락 이유를 사업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끝이 안보이는 불황의 터널 속에서 벗어나고픈 유권자의 권리가 표출된 것 아닌가 싶다. 그동안 장기집권 과정에서 정경유착으로 부패고리가 공고하게 형성되고 사회 양극화 심화, 국민 위에 군림하는 잘못된 권위를 바탕으로 한 관료주의 팽배 등으로 국민들의 염증이 극에 달했다. 자민당의 몰락은 줄줄이 도산한 일본의 대형 소매기업들을 떠올리게 한다. 최대 유통그룹인 이온은 주력업태인 자스코 등 점포를 폐쇄하는 숫자가 연간 60개에 이른다. 한 때 일본 최대 백화점이었던 소고는 2000년, 종합양판점(대형 마트) 4위 업체였던 마이칼은 2001년에 도산했다. 일본 최대 유통그룹이었던 다이에는 2004년 말 파산 직전까지 몰렸다가 산업재생기구의 지원으로 겨우 연명하고 있다. 언론에서는 당시 이들 기업이 천문학적 과잉채무 때문에 도산했다고 분석했지만 필자는 실패의 근본원인이 과잉점포에 있었던 것 아닌가 생각한다. 과잉점포의 문제는 점포의 확장이 소비자의 바람ㆍ기호ㆍ니즈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점포 수의 우위가 승자가 되는 지름길이라는 각 사 경영자들의 잘못된 욕구로 확대경영을 추진해 소매의 본질인 ‘상인정신’을 망각한 채 부동산 개발업자의 시각에서 덩치만 큰 매장을 양산했다가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당한 것이다. 기업 내부적으로도 규모가 커짐에 따라 관료주의의 폐해가 나타나 소비자의 목소리가 상품 구매부서까지 전달되지 않고 본부는 현장의 소리를 도외시한 Hard-selling 정책을 전개하는 등 악순환이 거듭됐다. 끝내는 수익구조 유지를 위해 납품업자에게 리베이트까지 요구하게 됐다. 과잉점포는 각 사의 생존을 위협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도 커다란 금전적 손실을 끼친다. 대형 점포가 들어서면 인근 소매업자들이 고사하고 적절한 규모 이상의 점포가 폐점하면 새 주인을 만나지 못해 흉물로 방치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필자가 전개하는 다이소의 점포 수는 지난달 29일자로 500개를 넘어섰다. 1,000원짜리 상품을 중심으로 하는 균일가 숍 다이소와 일본의 거대 유통그룹을 비교하는 것이 무의미할지 모르지만 고객이 원하는 점포를 만들고 있는지 반추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