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과 외환은행 등 13개 은행으로 구성된 채권단의 갈등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어 서로 피해를 입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사고 있다. 채권단은 지난 8일 현대그룹이 경영개선약정(MOU) 체결시한을 넘겼다며 신규대출을 중단하는 초강수 제재조치를 취했다. 이에 대해 현대그룹은 주채권은행을 바꿔 재무평가를 다시 받겠다고 맞서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대결적 자세로는 문제를 풀기 어렵다는 점에서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고 대화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대기업과 채권단 간의 대립은 매우 이례적인 사태라 할 수 있다. 외한은행 매각을 서두르는 론스타 때문이라는 설도 있고 현대그룹이 현대건설을 인수하려는 것이 배경이라는 관측도 나돌고 있다. 어떤 경우이든 채권단이 부채규모 축소를 위한 MOU 체결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 문제의 발단이 됐다는 것이다. 만약 채권단의 요구대로 MOU를 체결할 경우 부채축소를 위해 고강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뿐 아니라 현대건설 인수도 어렵게 된다는 점에서 현대그룹으로서는 수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현대상선 지분 8.3%를 보유한 현대건설의 향방에 따라 현대그룹으로서는 경영권에 변화가 올 수 있기 때문에 물러설 수 없는 실정이다.
현대그룹이 대출금 400억원을 상환하고 주채권은행을 바꿔 재무평가를 다시 받겠다고 나서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반면에 채권단은 현대건설 인수와 MOU 체결은 별개 문제이며 충분한 시간을 줬다는 입장이다. 절박한 현대그룹이나 채권단 양쪽 모두 나름대로 일리가 있지만 그렇다고 감정을 앞세우는 것은 문제해결에 도움이 안 된다는 점에서 자제할 필요가 있다.
이제라도 앙금을 털고 상생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 채권단은 현대상선의 실적이 개선되고 전망도 밝기 때문에 재무구조를 재평가받겠다는 현대그룹의 요청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MOU 체결이 기업을 살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융통성에 인색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현실과 괴리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평가기준의 재검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대그룹 측도 경영실태를 투명하게 채권단에 설명하고 이해를 얻는 노력을 아껴서는 안 된다. 감정적 대립이 장기화되면 양측 모두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화를 통해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