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설 연휴에는 폭설에도 불구하고 고향을 찾은 사람이 유난히 많았다. 사람들은 그때 어르신들께서 하신 “회사는 별 일 없지?” “월급은 잘 나오지?” “경제가 어렵다는데 걱정이구먼”이라는 말씀이 기억난다고 한다. 관심과 걱정의 표현이다. 올해 고향에 다녀온 사람들은 이런 질문이 실제상황이 됐다고 입을 모은다. 주변에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하나둘 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특히 경기가 어려운 지방일수록 더 하다. 건설사와 조선사에 대한 1차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는데 지방의 하청업체와 도급업체들은 벌써 한파를 맞고 있다. 지방의 어느 건설하청업체는 직원들에게 설 떡값으로 200만원을 줬다고 한다. 잘 다녀오라는 여비가 아니라 돌아오지 말아 달라는 편도 티켓이었다는 것이다. 고향을 찾는 이들이나 고향에서 맞이하는 이들 모두 경제위기의 먹구름을 더 무겁게 느꼈을 것이다. 경기악화에 대한 우려가 생각보다 빠르게 현실화하고 있다. 지난해 4ㆍ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 5.6%나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4.2%로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대외 무역의존도가 70%를 넘는데다가 교역조건의 악화 등으로 글로벌 불황의 직격탄을 피해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4%의 성장률이 현실화되면 어떤 현상이 전개될 것인가. 경제 전체의 성장률이 하락하면 고용흡수력이 저하된다.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4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조만간 국내 실업자 수가 100만명에 도달할 수 있다는 우울한 전망도 나오고 있다. 고용을 안정시키고 일자리를 새로 창출하는 것이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고용증대가 소비증가 등을 통해 경제선순환을 일으키는 기본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최근 정부가 제시한 ‘잡 셰어링(Job Sharing)’이라는 개념에 공감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어떻게 고용을 늘릴 것인가. 정부 부문에서는 재정지출을 확대해 고용안정과 사회안전망을 확충하는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도 임직원의 인건비 절감 등으로 일자리를 유지하고 청년인턴 등의 신규채용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한국은행의 산업연관분석에 따르면 임금인상률을 3%포인트만 줄여도 일자리 10만개를 새로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직장 구성원이 모두 조금씩 양보함으로써 고용이 늘어나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 일순간에 힘을 집중해서 이길 수 있는 경기가 아니라면 장기전에 대비해 경제인력을 키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