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의 디즈니를 키워라] 맞춤형 금융·동반성장 펀드 조성 등 은행·정부기관 콘텐츠 육성 협력을

김영규 기업은행 기업고객본부 부행장


박근혜 대통령이 주창하는 창조경제에 가장 가까운 산업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문화콘텐츠산업을 꼽는다. 문화콘텐츠산업은 무엇보다 초기 투자가 중요하다. 자금력이 뒤지는 영세기업이 많기 때문이다. 여기서 은행의 역할론이 나온다.

기업은행은 국내 은행 중 유일하게 문화콘텐츠금융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 부서를 총괄하는 김영규 기업은행 기업고객본부 부행장은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현장에서 요구하는 것은 각 사업단계에 맞는 맞춤형 금융인데 이를 위해선 전문인력과 자금력, 운영능력 등을 모두 갖춰야 한다"며 "은행이 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문화콘텐츠기업들이 금력에 끌려가다 보니 산업 양성이 뒤처지는 부작용을 낳게 됐다"며 "문화콘텐츠산업의 생태계에 선순환 흐름을 만들기 위해선 다양한 형태의 자금 지원 툴(tool)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은행을 향한 이 같은 역할론에도 불구하고 문화콘텐츠금융 지원은 아직 걸음마 수준에 머물고 있다. 기업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은행들은 창업 지원 상품을 대용해 최소한의 문화콘텐츠금융 수요를 맞추고 있다.

관련기사



김 부행장은 "기업은행이 문화콘텐츠금융 비중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익을 많이 내지는 않는다"며 "아직 수익성이 확인되지 않아 시중은행들의 참여가 미진한 것인데 문화콘텐츠금융이 신성장동력이라는 점에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부행장은 은행의 참여를 이끌어내려면 인식의 전환과 함께 유관기관들의 협조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문화콘텐츠산업 주변에는 많은 유관단체가 있는데 보유자금을 운용해 이익을 내기보다는 동반성장펀드 같은 것을 조성하면 영세기업에 낮은 금리로 자금을 공급할 수 있고 시중은행들의 참여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리기업인 은행이 지속적인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산업 지원에 나설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정부와 은행, 유관기관들이 모여 동반성장을 위한 길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행장은 기업은행이 불모지나 다름없는 문화콘텐츠금융에 나서면서 해당 업계에 새 바람을 불러왔다고 자평했다. 특히 금융 문외한이던 산업종사자들에게 금융의 중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준 점을 첫손에 꼽았다.

김 부행장은 "많은 기업들이 영세하다 보니 투·융자 유치에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신용등급 관리를 등한시했는데 스스로 재무관리를 하는 기업들이 많아졌다"며 "문화콘텐츠금융 시스템에 1금융이 가세하면서 생겨난 변화"라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지난 3년간 대출 위주로 문화콘텐츠금융을 지원해왔는데 앞으로는 투자 비중을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기업은행은 2011년 문화콘텐츠금융을 시작하면서 3년간 당초 목표치(4,500억원)보다 많은 5,400억원을 지원했는데 올해부터 3년 동안 연간 2,500억원씩, 모두 7,500억원을 지원한다는 장기 전략을 설정했다. 김 부행장은 "문화콘텐츠기업이 원하는 자금의 성격은 각 단계별로 상이한데 아직까진 대출 비중이 높다"며 "투자 비중을 더 늘려 기업들의 요구에 적극 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의 투자는 기존 벤처투자나 엔젤투자자들의 전략적 투자와는 달리 재무적 투자에 국한된다"며 "이렇게 하면 아이디어를 강탈당하거나 자본의 횡포에 끌려다니게 되는 리스크를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