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재계가 내년 임금협상에서 6년 만에 기본급 인상(베이스업)을 용인하기로 방침을 굳혔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9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일본 경제는 장기 디플레이션 터널의 출구를 향해 한 발짝 더 다가서게 됐다.
요미우리는 게이단렌이 지난 2008년 이래 6년 만에 기본급 일괄인상을 용인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회원기업들에 임금인상을 독려하기로 했다고 이날 전했다. 게이단렌은 1,300개 기업들을 회원으로 거느린 일본 최대의 재계단체다.
보도에 따르면 게이단렌은 내년 1월 중순에 확정할 '경영노동정책위원회 보고'에 "지난 수년간과 다른 대응도 선택할 수 있다"는 기본급 인상 용인 방침을 담을 계획이다. 게이단렌은 장기적인 임금인상으로 이어지는 기본급 상향에 대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부터 올해까지 "인상의 여지가 없다"는 단호한 반대 입장을 고수해왔으나 아베노믹스가 촉발한 엔저로 기업실적이 호전되자 아베 신조 정권의 임금인상 요구에 화답하기 위해 내년 춘투(봄철 임금협상)에서 6년 만에 기본급 인상을 용인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아베 정부는 내년 4월 소비세율 인상 이후에도 경기회복을 유지하며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임금상승에 따른 소득증대가 필수라는 판단에 따라 재계에 꾸준히 임금인상을 요구해왔다. 이와 관련, 내각부의 니시무라 야스토시 부대신은 28일 "(2014년에는) 소비증세분을 포함해 3.2%의 물가상승이 예상되므로 그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임금이 오를 것을 기대한다"며 내년 춘투에서 노사가 3% 수준의 임금인상에 합의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은연 중에 제시했다. 일본은 최근 총무성이 발표한 11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5년 만에 최고치인 1.2%를 기록하는 등 디플레이션 탈출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