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토는 수도권 과밀에 따른 심각한 불균형 상태에 놓여 있다. 수도권의 인구는 지난 60년대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며 심각한 주택ㆍ교통문제에 시달리는 반면, 지방은 도시인프라조차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한 형편이다. 또한 설비투자 규모가 계속 하락하는 등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기업도시는 국가균형 발전과 경제활성화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효율적인 정책수단이다. 기업이 필요한 곳에 복합적인 자족도시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해 민간의 투자를 촉진하고 동시에 기업도시가 상대적인 낙후지역에 입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국토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기업도시가 이러한 목표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21세기 성장동력산업을 바탕으로 신산업형 복합도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도시에 자동차ㆍ디지털전자ㆍ바이오 등 21세기의 신산업을 유치하고 산업경제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주거ㆍ교육ㆍ문화 등 생활여건을 조성해 지역경제 성장의 거점을 형성하는 것이 기업도시의 출발점이다.
정부는 지역의 발전전략에 부합하는 적정산업을 유치하는 한편, 동종업종ㆍ협력업체가 공동 입주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기업도시에 직접적인 산업투자 및 집적효과를 유도하고 있다.
둘째, 중복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규제를 개선하고 원스톱 서비스를 시행해 기업도시 개발이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하고 나아가 기업친화적 경영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입주기업의 종사자 등이 다양하고 수준 높은 교육ㆍ문화의 혜택을 받으면서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기업도시 정주여건이 개선돼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과 기업의 상생발전을 위해서는 시행기업과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이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지역의 기대와 기업의 투자전략이 서로 손뼉처럼 마주칠 때 민간의 투자와 국가의 균형발전을 견인하는 기업도시가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은 바로 앞만 내다보는 단기적인 시각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기업도시의 진면목을 판단해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는 기업도시가 올바른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심과 믿음으로 협력해야 할 것이다.
기업도시의 성공을 위해 정부가 누구보다 앞장설 것을 약속하면서 기업의 의지, 지자체 및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협력, 시민사회의 성숙이 조화롭게 결합해 지역을 새롭게 탈바꿈하는 큰 열매를 맺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