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이 7일(현지시간) 공개한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 따르면 다수 위원들은 "해외 경제상황이 미 경제활동과 고용에 중대한 위험 요인"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이들은 "유가 하락과 다른 나라의 성장률 부진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상당히 부정적인 충격을 주거나 유럽·일본 등의 통화정책 대응이 불충분할 경우 리스크가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존 힌센래스 연준 전문기자는 "연준이 국내가 아닌 해외 리스크를 정책 결정의 중요 변수로 꼽기는 이례적"이라며 "일본의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유럽 경기침체 위기, 중국 경기둔화 등이 미 경제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준의 통화긴축 여부는 유럽중앙은행(ECB)의 행보에 달려 있다는 게 WSJ의 설명이다. 유로존은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전년동기 대비 0.2% 하락하며 디플레이션 위기에 빠져 있다.
하지만 독일의 반대로 ECB의 전면적 양적완화에 제동이 걸릴 경우 연준의 첫 기준금리 인상도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 연준은 ECB가 양적완화를 실시할 경우 달러화 강세의 여파로 저물가 지속, 수출둔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겠지만 글로벌 경기둔화가 더 큰 위험요인이라고 보고 있다.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지난 5일 "일본과 유럽이 부양책을 실시하면 그들 나라는 물론 세계 경제, 결과적으로 미국에도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반면 미국 내 저물가는 기준금리 인상의 장애물이 아니라고 연준은 보고 있다. 12월 FOMC 회의록에서 대다수 위원들은 "에너지 가격 하락과 달러화 강세로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인 2% 밑에 머물러 있다"면서도 "(낮은) 현재 수준에서도 FOMC는 통화정책 정상화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이들 위원은 "고용시장 개선 등으로 시간이 지나면 인플레이션율이 2% 수준에 도달할 것"이며 최근 유가 추락도 소비회복에 도움을 주는 등 전반적으로 미 경제의 촉진제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회의록에서는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회의록은 지난달 '상당기간 초저금리 유지'라는 포워드가이던스(선제안내) 문구를 '기준금리 인상에 인내심을 가질 것'이라고 대체한 데 대해 "대다수 위원은 앞으로 두어 번 FOMC 회의에서 통화정책 정상화를 시작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고 생각했다"고 못 박았다. 지난해 12월 FOMC 회의 직후 재닛 옐런 의장이 "앞으로 열릴 두 번의 회의에서는 기준금리가 인상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것은 즉흥적 발언이 아니라 연준 내 합의에 따른 것이었던 셈이다.
이 때문에 연준은 올 1·4분기 발표되는 경제지표를 봐가면서 금리인상 시기를 가늠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 경제가 급속한 회복세를 보일 경우 이르면 올 4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지겠지만 해외발 악재가 강타할 경우 시장 전망치인 6~7월보다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키리시나 구하 전 뉴욕연방준비은행 커뮤니케이션 담당 이사는 "연준이 미 경제둔화의 리스크가 국내가 아닌 해외에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