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역 제조업 매출 1위 기업인 르노삼성자동차는 오는 10월부터 국내 최초로 100% 전기차를 대량 생산해 본격적인 시판에 나선다. 이번에 시판되는 전기차는 연료비와 관리유지 비용이 일반 차량보다 훨씬 저렴해 일반 소비자는 물론이고 시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업무용 차량에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르노삼성차 외에도 기아자동차와 한국GM자동차도 올 하반기부터 전기차를 본격 출시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부산시는 그러나 이 같은 전기차 출시를 앞두고 다른 지방자치단체들이 전기차 산업 육성과및 활성화에 본격적 나선 것과는 대조적으로 시 차원의 정책 지원 등 관련 산업 육성에 별다른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부산시가 최근 환경부의 '전기자동차 선도도시'선정에서 탈락했다는 사실이 이를 대변한다. 선도도시로 선정된 제주, 서울, 대전, 창원, 포항, 당진, 안산, 춘천, 광주, 영광 등 10개 도시가 활발한 유치 활동을 벌인데 반해 부산시는 열의를 보이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전기차 선도도시 선정에 당초부터 큰 의지가 없었던 셈이다.
게다가 부산시는 전기차 시장확대에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시는 시민들에 대한 보조금 계획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담당부서도 없이 환경보전과 직원 1명이 전기차, 하이브리드카 등 친환경차를 모두 맡고 있는 형편이다. 실제로 부산시 관계자는 "시 내부에선 전기차의 성능과 시장 확대에 대해 회의적 분위기"라며 "보조금 지원도 당분간 계획이 없다"고 전했다.
반면 전기차 선도도시로 선정된 지자체들은 환경부 보조금 이외에 지자체 보조금 편성을 준비하는 등 전기차 육성 의지를 보여 부산시와는 대조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자체 보조금 800만원을 도비로 편성해 160대의 전기차 민간 보급을 실시하고 있다.
기아자동차 공장이 자리한 광주시도 지난해부터 기아차의 레이 전기차 보급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지역에서 생산한 레이 전기차 18대를 구입하기도 했다.
GM 공장이 있는 창원시는 올해 지자체와 경상남도에서 각각 보조금을 준비하는 등 보급 목표를 세우고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부산지역 경제계와 시민사회단체 등은 부산시가 전기자동차 선도도시로 나서지않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최근 지역 기업 살리기를 최우선 정책으로 표방하면서도 정작 지역 기업이 생산하는 전기차 육성에 무관심을 보이는 것은 어불성설" 이라며 "지금부터라도 전기차 선도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시에서 적극적인 노력을 결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