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인 컨설팅회사인 맥킨지(McKinsey&Company)는 서울이 동북아 금융허브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외국인투자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하며 앞으로 2~3년 밖에 시간이 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맥킨지는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간 주요 외국금융기관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외국인의 금융허브로서 서울의 선호도는 홍콩ㆍ싱가포르, 도쿄ㆍ상하이 등에 이어 베이징과 3위 그룹에 속했다.
도미니크 바튼(Dominic Barton) 맥킨지 서울사무소 대표는 “서울이 유리한 입장이 아니다”라며 “이정표를 세우고 행동으로 옮기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기회의 창이 닫혀가고 있다”며 “한국 정부는 과거 싱가포르와 같은 엄청난 결의를 표명해야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맥킨지의 설문분석 보고서는 외국인 투자를 가로막고 있는 걸림돌이 여기저기에 널려있는 서울의 금융허브 발전 가능성이 경쟁도시에 비해 유리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지나치게 구속적이고 시장원리에 반하는 규제 및 법률, 낮은 영어 구사력 및 의사소통 수준, 호전적인 노조, 불편한 외국인 주거환경 등이 해결되지 않는 한 아시아 금융허브로 거듭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맥킨지는 특히 한국에게 주어진 시간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홍콩이나 싱가포르 등에 아시아지역본부를 운영중인 다국적 금융기관들이 2~3년 안에 아태지역 본부를 서울로 이전하진 않더라도 한국이 외국인투자자를 위해 최선을 다해 움직이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이 별다른 노력을 보여주지 못하는 한 2~3년 안에 외국인의 관심권에서 멀어질 것이라는 경고인 셈이다.
산업은행도 이날 `동북아 2003`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짜임새 있는 특구정책과
▲연구개발(R&D)에 대한 집중투자
▲핵심기술인력 양성
▲외국인 투자유치의 질적렙瑛?개선
▲FTA에 대한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접근
▲합리적인 노사관계의 정착 및 노동시장의 경직성 완화 등의 병행을 동북아 경제중심의 필수요건으로 꼽았다.
산은은 특히 북한과 러시아, 중국, 일본을 포함하는 동북아 전체의 금융ㆍ산업ㆍ물류 부문의 총체적인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김성수기자,김홍길기자 what@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