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의 한 핵심관계자는 22일 "박 대통령이 경제 전문가, 친박계 인사, 국민통합형 인사 등 세 가지 유형을 놓고 최종 낙점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25일 이전에는 발표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청와대와 여권 일각에서는 정무 감각을 겸비한 경제 전문가가 발탁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노동시장 개편, 공무원연금 개혁, 증세ㆍ복지 문제 등 국민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걸린 핵심 과제를 원활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문가가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며 "이들 문제는 여야 등 국회와의 의견 조율과 협상이 필수적인 만큼 여야 관계가 원만한 인물이면 금상첨화일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박 대통령이 비서실장 인선과 함께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 청와대 특보단 구성과 관련해 경제특보단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경제 전문가형 비서실장 임명 가능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여권 관계자는 "경제 전문가형이 발탁될 경우 분배보다는 성장, 재정 건전성 확보 등 국정철학을 공유하는 인물이 돼야 할 것"이라며 "통합형 인사라는 여론에 밀려 정책코드가 맞지 않는 인물을 앉힐 경우 정책 혼선과 마찰을 빚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임하지 않겠다고 밝힌 한덕수 무역협회장, 20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이한구 새누리당 의원,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경제 전문가형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이완구 총리, 최경환 경제부총리, 황우여 사회부총리 등으로 강력한 '친박 내각'을 구축한 박 대통령이 비서실장 자리에도 친박 핵심인물을 선택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청와대 일각에서도 집권 3년차는 국정운영의 골든타임인 만큼 내각과 청와대 비서실 진용을 모두 친박 인사로 꾸리면 국정운영에 속도감과 일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권영세 전 주중대사, 현경대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이경재 전 방통위원장, 이병기 국가정보원장 등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한편에서는 비서실장 인선이 다소 늦어지는 것은 박 대통령이 야권을 포함한 통합형 인사로 방향을 틀었기 때문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1ㆍ23 청와대 개편'과 '2ㆍ17 개각'이 국민에게 공감을 주지 못한 인선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중도 성향의 야권 인물 중 국정철학이 유사한 인물을 찾고 있다는 것이다.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김원길 전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