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은 13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벤처펀드 조성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1조5,374억원 보다 30%나 늘어난 규모로 정부가 5,470억원을 투입해 모태펀드 약 1조7,000억원을 마련하고 벤처기업, 대기업 등 순수 민간영역의 자율 출자를 통해 3,000억원을 조성할 방침이다.
먼저 창업 3년 이내 기업은 창업초기 벤처펀드(1,000억원)와 엔젤매칭펀드(300억원)를 이용하면 된다. 단, 엔젤매칭펀드는 매출 10억원 미만의 벤처ㆍ이노비즈 기업에 대해서 업력 제한을 적용하지 않는다.
해외 진출, 나스닥 상장, 글로벌 대기업과 M&A를 추진하는 기업은 △한국형 요즈마펀드(500억원) △해외진출펀드(1,700억원) △외자유치펀드(1,000억원) △중견기업펀드(800억원) △해외기업 M&A 펀드(200억원)를 활용할 수 있다.
여성, 지방, 재도전기업 등 민간 투자유치가 어려운 기업들이 대상으로 △여성기업 펀드(100억원) △ 지방 벤처펀드(200억원) △재기 펀드(200억원)도 만든다.
업종별ㆍ산업별 특화 펀드도 나온다. 주요 펀드로는 △제약 및 바이오 펀드(1,000억원) △부품소재 펀드(200억원) △특허 및 기술이전 사업화 펀드(600억원) △디지탈 콘텐츠 펀드(1,000억원) △영화ㆍ게임ㆍ공연ㆍ콘텐츠 펀드(2,170억원) 등이며 기업들은 업력 제한없이 업종에 따라 관련 펀드를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개별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는 아니지만 ‘창업→성장→회수ㆍ재도전’의 선순환 벤처생태계 조성을 위해 ‘세컨더리 펀드’를 1,20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김순철 중기청 차장은 “올해 2조원의 벤처펀드 조성 목표 달성시 창업ㆍ벤처기업의 다양한 투자 수요 충족은 물론 글로벌화 등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올해 지원 업체수를 전년도 755개 보다 약 20% 늘어난 900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