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br>소우당 별당, 양반의 풍류 가득… 선운사 '천년숲길' 비경 자랑
| 고운사 가운루 |
|
| 한정식 서원의 흑마늘과 한정식 상차림 |
|
'의로운 고장(義城)'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경상북도 의성은 지도를 펼쳐 놓고 위에서 보면 땅콩처럼 생겼다. 동과 서쪽으로 길고 남과 북쪽으로 완만하다가 가운데가 살짝 들어간 폼이 영락없는 땅콩이다. 화려하진 않지만 고즈넉한 산운마을과 사촌마을, 고운사와 산수유마을을 알면 알수록 땅콩처럼 고소한 맛이 절로 난다고 의성 사람들은 말한다.
◇고풍스러운 운치를 간직한 산운마을
안동(하회마을), 영주(무섬마을) 등 인근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의성에도 전통 마을이 잘 보존돼 있다. 수백년 된 고택과 회화나무가 늘어선 전통 마을은 요즘 같이 청명한 하늘이 펼쳐지고 햇살이 부드러운 가을과 잘 어울린다.
금성산의 운해 아래 자리했다고 해서 산운(山雲)이라고 불렸다는 산운마을은 420여년을 이어온 영천 이씨의 집성촌으로 지금도 80여 가구의 절반이 영천 이씨다. 학록정사와 운곡당, 소우당, 점우당 등 저마다 특색 있는 전통 가옥들과 돌담이 어울려 한 폭의 수채화처럼 아름답다. 과거에 급제하거나 높은 관직에 오르면 심었다는 회화나무도 마을 곳곳에서 볼 수 있다.
40여채의 고택 중 가장 눈에 띄는 곳은 소우당이다. 19세기에 지어져 조선 말기 양반가의 풍류와 운치를 유감 없이 보여준다. 소우당은 안채보다 별당이 압권이다. 별채로 들어서는 쪽문을 통과하면 못과 숲이 어우러진 한식 정원이 펼쳐지는데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면 한반도 모양이라는 못과 둘레에 소나무를 심어놓은 화려한 조경은 탄성이 절로 나온다.
◇의병의 기상이 서린 사촌마을
산운마을이 남부의 반촌이라면 사촌마을은 북부의 반촌이다. 사촌마을은 중국의 사진촌(沙眞村)을 본 따서 지은 마을 이름으로, 안동 김씨, 안동 권씨, 풍산 류씨의 집성촌이며 송은 김광수, 서애 류성룡 등이 이 곳에서 태어났다. 600여년전 연산군 때 안동 김씨 송은 김광수는 당파주의를 반대하며 이곳으로 내려와 영귀정이라는 작은 정자를 짓고 은둔 생활을 하다 98세에 세상을 떠나면서 후손들에게 "과거는 보되 높은 벼슬에 출사치 말라"고 일렀다고 한다.
그의 외손자인 서애 류성룡을 비롯 풍산 류씨를 통틀어 사촌마을에서 대과에 급제한 사람이 18명, 소과에도 31명이 합격한 기록이 남아 있으나 조상의 유지를 따르기 위함인지 높은 벼슬에 오른 이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사촌마을 문화관광해설사인 류근하 씨는 "이 곳 학자들은 과거에 급제해도 벼슬길에는 나가지 않고 향학 발전에 이바지했다"고 설명했다.
오랜 역사에도 불구 마을 곳곳에는 지은 지 100년도 안 되는 신축 한옥이 눈에 띄는데 이는 아픔의 역사를 반증하는 것이다. 의성(의로운 성)이라는 이름처럼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이 곳에 왜군이 와서 불을 질렀고 명성황후가 시해된 뒤 다시 의병(병신의병)을 일으키자 일본군들이 몰려와 또 불을 질러 마을을 황폐화시켰다고 전해진다.
숱한 파괴의 역사 속에서도 1582년 지은 만취당은 유일하게 남아 있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과 함께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이며 궁궐이나 절이 아닌 사가(私家)로는 유일하게 오래됐다. '서쪽이 허하면 인물이 나지 않는다'는 풍수지리에 따라 마을이 생길 때 마을 바깥 쪽으로 가로숲길이 조성돼 지금도 멋진 풍광을 뽐내고 있다. 수령이 최고 600년에 달하는 가로 숲길은 길이가 1㎞나 돼 천천히 걷기에 그만이다.
◇가을의 절정을 만난 고운사
단촌면에 자리한 고운사는 681년 의상대사가 창건하고 신라의 대학자 고운 최치원이 중건한 유서 깊은 고찰이다. 말사가 60여개에 이르는 조계종 제16교구 본사라지만 절 앞에 그 흔한 산채 비빔밥집 하나 없는 고즈넉한 분위기가 사찰 본연의 모습을 보여준다. 천년고찰 고운사로 향하는 진입로는 소나무가 울창하고 운치가 있어 '천년 숲길'로도 불린다. 고운사 경내 입구에서 만난 가운루는 특별한 건축 양식에 다시 한 번 눈길이 간다.
신라 말기 최치원이 세웠다는 가운루의 기둥 길이는 저마다 다른데 물길을 거스르지 않기 위해 계곡 속 바위를 초석 삼아 거기에 맞춰 기둥을 세웠기 때문이다. 특히 보물 246호인 석조석가여래좌상과 우화루 호랑이 그림은 고운사의 자랑거리인데, 호랑이 그림은 서있는 위치를 바꿔도 범과 눈이 마주치니 가슴이 서늘해지는 느낌이다.
◇빨간 열매 가득한 산수유 마을
산수유 마을은 숲실마을(화전2리)과 전풍마을(화전3리)로 나뉜다. '숲실'은 숲으로 둘러싸인 골짜기라는 뜻의 순 우리말로 임진왜란 때부터 마을에 다래와 머루 넝쿨이 어우러지며 넓은 숲을 이뤄 붙여진 이름이다. '전풍'은 마을에 중풍에 효과가 있는 산수유 나무가 많고 산 좋고 물이 좋아 끊임없이 풍년이 든다고 해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
봄에는 샛노란 산수유 꽃으로, 늦가을엔 새빨간 산수유 열매로 뒤덮이는 산수유 길은 의성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 자리잡았다. 마을 입구로 가는 10리 길에 수령이 30년부터 300년이 넘는 3만여 그루에 달하는 산수유 나무가 뒤덮여있다.
지금은 관광 명소가 된 산수유 나무가 화전리를 온통 뒤덮을 수 있었던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마을의 가난 때문이었다고 한다. 먹고 살기 힘든 시절 한약재로 쓰이는 산수유 열매를 길러 내다팔기 위해 마을에 산수유 나무를 심기 시작한 것이 이제는 전국 최고의 산수유 마을의 씨앗을 제공한 것이다.
산수유 열매에는 동맥경화 예방에 좋은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산과 체내의 불필요한 수분 배출을 촉진하는 사포닌 등이 다량 함유돼 있어 내과 질환에 좋으며 원기 회복에도 효능이 있다. 나뭇잎이 모두 떨어져 새빨간 산수유 열매가 가로수 길을 뒤덮는 것은 보통 11월 중순. 이맘 때는 붉은 양탄자처럼 펼쳐진 산수유의 장관을 보기 위해 수많은 관광객들이 이 곳을 찾는다.
◇왕국의 자취가 숨어있는 의성
국내 최고의 사화산이라는 금성산 주변에는 역사책에도 잘 남겨지지 않은 이야기들이 숨어 있다. 신라 석벌휴이사금(벌휴왕) 2년인 185년 신라에 의해 멸망했다는 기록만이 남아 있는 조문국이 바로 의성이라는 것. 김천 감문국, 경주 사로국, 영천 골벌국, 경산 압독국, 상주 사벌국, 청도 이서국 등의 성읍 국가들과 함께 찬란한 고대문화를 꽃피웠다고 한다.
잊혀진 왕국 조문국이 다시 조명 받게 것은 세월이 흐른 조선 중기. 오극겸이라는 농부의 꿈 속에 조복 차림에 금관을 쓴 백발 노인이 나타나 "나는 조문국의 경덕왕인데 네 원두막이 내 능 위이니 속히 철거하라"고 해 비로소 조문국 유적이 발견됐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실제로 이 곳에선 출(出)자 장식의 신라 것과 달리 산(山)자 모양의 조문국 금관이 함께 출토돼 조문국의 역사를 입증해준다. 의성군은 현재 조문국 고분군을 문화유적지로 개발하기 위해 고분들을 차례로 복원중이다.
◇의성의 먹거리
의성은 단연 육쪽 마늘을 이용한 음식이 최고다. 마늘 삼겹살ㆍ마늘 먹인 한우 등과 마늘 밥을 추천할만하다. 봉양면 도원리 일대의 식당 10여곳이 늘어선 마늘 한우식당가가 유명하다. 축협에서 직접 마늘 한우 쇠고기를 구입, 식당에 1인 당 3,000원씩 주면 불판과 반찬을 내온다. 마늘 정식을 찾는다면 군청 근처의 서원(054-834-0054)이 잘한다. 흑마늘과 함께 익힌 닭고기와 불고기, 직접 쑨 도토리 묵채 등이 푸짐하고 맛깔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