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대기업 주력사 1~2개를 시험적으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포함시키기로 하면서 재계는 정확한 의미파악과 함께 어느 기업이 선정될 것인 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정부가 지난 5월 「제5차 정·재계간담회」에서 밝힌 대로라면 외견상으로는 재계의 의견을 대폭 수용한 것이다. 정부는 5대그룹 계열사 가운데 부채가 많지만 사업성있는 기업에 대해선 대출금 출자전환 등을 통해 부채비율을 대폭 축소해 외자유치가 가능한 수준으로 재무구조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재계는 이에대해 퇴출의 개념으로만 인식돼 온 워크아웃을 말 그대로 기업가치를 개선, 회생시키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 재계는 그동안『워크아웃에는 「아웃」(OUT)만 있고 「워크(WORK)」는 없다』고 지적해 왔다.
재계는 특히 국내기업 가치가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이후 그 이전보다 절반이상 하락한데다 부채비율도 높아 외자유치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을 인정해 5대그룹 주력사에 대해 워크아웃을 실시, 우선 기업가치제고와 부채비율축소를 추진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 5일 밝힌 워크아웃은 6대그룹 이하에 추진됐던 것과는 다른 개념으로 보고있다』며 『이는 그동안 재계가 꾸준히 강조해 온 사항을 정부가 받아들인 것으로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의 주력사 워크아웃방침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않다.
워크아웃이 기업은 회생시키되 대주주나 오너의 경영권을 대폭 축소하는 것을 기본개념을 추진되고 있는 만큼 이번 정부방침도 기존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사업성있는 주력기업에 대해 정부와 금융권차원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하지만 경영권에 대해선 보장할 수 없다는 의미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지난달 22일 열린 「제4차 정·재계 간담회」에서 출자전환이 이루어져 금융기관이 대주주가 되더라도 경영을 잘 해 나갈 수있는 경영주는 교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은행권의 대출금을 출자전환하고, 외자를 유치할 경우 대주주의 권한은 그만큼 축소될 수밖에 없다고 보고있다. 더욱이 금융기관이 대주주가 되면 사실상 금융기관의 간섭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재계가 주력사 워크아웃방침에 신경을 쓰는 것도 바로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
5대그룹 주력사에 대한 정부의 워크아웃방침에 대해 재계의 반응이 「기대」와「우려」로 나눠지고 있는 가운데 5대그룹은 어느 주력사가 워크아웃에 포함될 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현대·대우·LG·SK 등 해당그룹마다 주력사들 대부분이 아직 이에 대한 검토나 주채권은행과의 협의가 없어 어느 기업이 포함될 지 전혀 알 수없는 상황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5대그룹 주력계열사 가운데 1~2개를 선정, 워크아웃을 우선 실시키로 방침을 정한 만큼 곧 이에 대한 가시적인 조치가 나올 것으로 보고 주력계열사를 중심으로 워크아웃 대상기업 파악에 나서고 있다. 【이용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