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건설산업 새길 찾을때다] <중>친환경 신기술서 경쟁력 찾아라

"성장잠재력 무궁무진"… '녹색건설' 발걸음 빨라진다<br>GS 정수처리·삼성 에너지시뮬레이션등 시장선점 박차<br>매년 20~30% 성장 불구 선진국 비해선 아직 걸음마<br>저탄소 기본법등 제도 정비·세제혜택등 정부지원 절실


#1. 경기도 이천시 모전면의 '축산분뇨 바이오 가스 열병합 발전시설'에서는 2,500마리의 돼지가 배출하는 분뇨를 이용해 하루 480㎾h의 전기와 860M㎈의 열을 생산한다. 230가구가 쓸 수 있는 전력량이다. 이 발전시설에는 대우건설이 개발한 'DBS 공법'이라는 자체기술이 적용됐다. #2. 현대건설과 협력업체가 공동 개발한 '삼중유리 시스템 창호'는 기존 알루미늄 프레임 대신 PVC를 사용해 단열성능을 두 배 가까이 향상시켰다. 단열설계기준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노르웨이의 창호 단열 기준과 비슷한 수준으로 약 30%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 #3. 대림산업은 지난 2005년 1㎡당 연간 3리터의 연료만으로 냉난방을 할 수 있는 '3리터 하우스' 기술개발을 완료했다. 아직 상용화되지 않았지만 기존 주택과 비교해 냉난방 비용이 20~30%밖에 들지 않는 저(低)에너지 기술이다. 건설사들이 친환경 신기술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투자비나 시장규모에서 걸음마 단계지만 꾸준한 연구개발(R&D)의 성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대우건설의 DBS 공법은 유럽시장에 수출돼 기술 로열티를 받고 있다. ◇미래의'블루오션'에 사활을 걸었다=친환경 신기술을 표방하는 녹색건설은 '그린'이라는 키워드로 압축된다. 온실가스를 줄이고 에너지를 효율화하는가 하면 환경개선과 경제성장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기도 한다. 국내 녹색사업 관련 시장 규모는 3조~5조원 정도로 추산된다. 150조원 규모인 선진국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만 해마다 20~30%씩 성장하고 있는 만큼 시장성은 밝다는 분석이다. 홍순모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국내 녹색건설 산업은) 유럽 같은 선진국과 비교할 때 이제 발걸음을 뗀 단계"라며 "발전속도나 성장잠재력으로 볼 때 가치가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녹색건설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업계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GS건설은 전열교환 환기와 중앙진공청소기, 중앙정수처리 시스템 등의 친환경 신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현재 개발하고 있는 선진국형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건물 에너지관리 시스템을 앞으로 모든 건축물에 적용할 예정이다. 금호건설이 최근 강원도 속초에 준공한 '해수담수화시설'은 1,000명이 매일 250리터를 사용할 수 있는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 플랜트는 금호건설이 20억원의 연구비를 들여 자체 개발한 역삼투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 회사는 역삼투법 해수담수화시설 준공을 계기로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매년 60% 이상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해수담수화시장에 뛰어들 예정이다. ◇녹색건설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하지만 국내 건설업계의 친환경 신기술이 갈 길은 아직 멀다는 지적이다. 기술력은 물론 경제성이 검증된 기술이 많지 않다. 무엇보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이 턱없이 부족하다. 정부는 녹색성장을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청사진을 밝혔지만 골격이 되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조차 아직 국회에서 낮잠을 자고 있다. 친환경 기술을 국가의 전략적 목표와 제도로 확립하고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신산업으로 육성하는 선진국과 격차가 클 수밖에 없는 이유다. 특히 눈 앞의 이익보다 멀리 미래를 내다보는 집중투자와 차별화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대우건설의 DBS 공법이 해외에 수출되기까지에는 무려 25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지난 1983년 건설기술연구원이 설립된 후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끝에 나온 성과다. ◇정부의 투자와 인센티브가 필요할 때=국가 경쟁력을 녹색성장에서 찾고 있는 이명박 정부는 22개 신성장 동력을 선정, 오는 2013년까지 100조원에 가까운 돈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 가운에 에너지ㆍ환경 분야에만 30조원이 배정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의 정책시행 의지와 능력 등을 여전히 반신반의한다. 녹색성장을 조율할 컨트롤타워도 없고 정책방향도 업계의 현실과 맞지 않는 것이 많다는 지적이다. 이복남 건설산업연구원 건설관리연구실장은 "각개약진하며 엇박자를 내는 유관 정부부처를 조정하고 이끄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녹색건설이 건설업계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으려면 보다 적극적인 R&D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친환경 기술개발을 업계에만 맡겨두지 말고 정부가 유망사업을 선정해 민간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특히 녹색건설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정부의 관련제도 정비 및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 제공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친환경기술이 적용된 아파트에는 분양가상한제 완화나 용적률 상향 등의 실질적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