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증시 시가총액 1,000兆 시대] <하> 재도약을 위한 과제

'주식투자=평생 재산관리' 인식 절실<br>퇴직연금등 세제혜택·투자기반 확대 시급<br>우량 공기업 민영화 통한 지속적 공급 필요


한국 증시는 시가총액 1,000조원 돌파를 계기로 선진 시장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오는 9월에는 선진국지수로 대표되는 FTSE지수에 편입될 수 있을 것이란 낙관적 전망도 흘러나온다. 그러나 증시선진화는 단순히 ‘덩치’만 커졌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합리적 제도와 투자자의 올바른 투자 마인드가 담보될 때 비로소 완성된다. 전문가들은 “개인투자자들이 주식투자에 대해 단순히 차익을 실현하는 것이 아니라 평생 재산관리를 한다는 인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 연금 등의 주식시장에 대한 자산운용 투자기반 확대와 세제혜택의 폭도 늘리는 인프라 개선 작업도 병행돼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주식투자=평생 재산관리’ 인식 정착돼야=지난달 국내 증시는 돈을 빌려 주식에 투자하는 신용거래로 큰 홍역을 치렀다. 최근 업계에서 이에 대한 개선책을 내놓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빚을 내서라도 투자한다’는 잘못된 관행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국내 신용거래규모는 6조원대로 크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그러나 문제는 단기간에 너무 갑작스레 폭증했다는 데 있다. 실제 지난 3월 말 7,000억원에 불과했던 신용거래는 불과 3개월 사이에 10배가량 급증해 정부와 업계가 부랴부랴 신용거래 연착륙에 나서게 만들었다. 증시활황에 따라 빚을 내서라도 단기차익을 노리겠다는 ‘투기자’들이 일시에 증시로 몰려들었다는 이야기다. 이는 올바른 투자문화는 기업의 실적과 가치를 중심으로 한 중장기 투자라는 점에서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는 숙제를 안겨주었다. 주식투자를 통해 평생 자산관리를 한다는 생각으로 투자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병우 한국투자자교육재단 국장은 “투자자들의 인식전환이 없는 양적인 팽창에 따른 증시 선진화는 모래성과 같다”고 말했다. ◇세제혜택 확대 등 제도적 뒷받침도 강화해야=선진국형 증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과 세제 혜택 확대를 통한 투자분위기 조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최근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안하면 바보’ 소리마저 듣고 있는 주식형펀드의 경우 연금법 규정상으로는 위험자산으로 분류돼 있는 것도 개선돼야 한다. 지난 2005년 말에 도입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르면 퇴직연금이 주식에 40% 이상을 투자하면 위험자산으로 분류된다. 외국 대부분의 국가들은 퇴직연금의 주식 등 자산운용 비중에 대해 별다른 제약을 두고 있지 않다. 또한 기업연금 등의 경우에도 주식시장으로의 유입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세제혜택 등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한편 9월이면 우리나라는 선진증시의 상징으로 일컬어지는 FTSE 선진국지수 편입을 위한 3번째 도전에 나서게 된다. FTSE지수는 펀드 등 외국 대형 투자자금이 해외 투자를 할 때 기준으로 삼는 지표로 이곳에 편입되면 이들 자금의 국내 유입이 크게 늘게 된다. 따라서 최근 증시 1,000조원 돌파를 바탕으로 한 발전된 투자문화 구축은 FTSE 선진국지수 편입을 위한 든든한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정수 한국증권업협회 이사는 “정부의 경우 제도 개선과 함께 우량한 공기업의 민영화를 통해 좋은 종목들을 꾸준히 공급해주는 것도 필요하다”며 “개인들은 특히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신에 맞는 자산운용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