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가 큰 기술금융 등을 활성화하려면 이공계 전문인력 영입이 절실하지만 폐쇄적인 채용관행과 은행문화가 걸림돌로 작용해왔다는 것이다.
또 금리·수수료 등에 대한 당국의 과도한 간섭도 보수일변도의 여신정책을 고착시킨다는 지적 또한 제기됐다.
24일 금융위원회의 '창조금융 활성화를 위한 금융혁신 방안' 발표가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서울경제신문이 국내 시중은행 여신 담당 부행장들에게 금융보신주의 타파를 위해 가장 시급히 개선돼야 할 다섯 가지 요인을 질의한 결과 이런 지적이 나왔다. 부행장들은 기술금융에 부족한 역량을 메우려는 은행의 자체 노력이 부족했으며 순혈주의 집착이 큰 원인이라고 고백했다.
한 부행장은 "기술금융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인재수혈에는 미온적이었다"라며 "외부 전문가 채용으로 조직문화에 생기를 돌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림자 규제를 걷어내야 한다는 지적도 곱씹을 만하다.
금융사의 수익성은 악화하고 가격 간섭은 심해져 보신주의가 창궐하는 토양이 오히려 강화되고 있다는 항변이다. 한 여신 담당 임원은 "소신 있는 여신운용이 가능해지려면 수익성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그런데 수수료 등 비이자수익을 늘릴 길을 다 막는 등 자율경영의 싹을 밟아놓았는데 (금융사가) 달라질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다른 임원도 "이익을 내기 위한 규제완화 등이 단행돼야 은행도 주도적인 참여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성과주의 정책에 대한 쓴소리도 나왔다.
저신용등급자, 기술형 기업 등에 대한 전향적 여신정책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이뤄져야 하며 무리한 밀어붙이기는 부작용을 낳는다는 게 경영진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한 시중은행장은 "여신정책 변화는 평가모형을 만드는 데 필요한 데이터 누적, 여신 담당자의 면책조항 합리화, 조직문화 혁신 등과 연계돼 금방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만큼 긴 호흡으로 지켜보고 보완해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