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위원회는 6일 오전9시 안전행정부의 추천을 받아 강 서울청장을 면접하고 '경찰청장 임명제청안'에 동의했다. 앞으로 국회 인사청문회와 안전행정부 장관의 제청 절차를 거친 뒤 대통령의 임명을 받게 되면 강 내정자는 경찰총수로서의 공식 업무에 임하게 된다.
강 청장은 12만 경찰을 대표하는 영광을 안았지만 그의 앞에 놓인 과제는 한두 개가 아니다.
우선 강 내정자는 땅에 떨어진 경찰의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 시급하다.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경찰의 무능과 거짓 해명을 지켜본 국민은 경찰에 싸늘한 시선을 보냈다. 경찰은 유씨 변사체를 발견하고도 기본적인 초동수사를 하지 않아 40일이나 지난 후에야 신원확인을 했다가 국민들의 질타를 받았다. 게다가 유씨가 숨어 있던 순천 송치재 별장 비밀공간과 관련한 제보를 묵살하고 이 내용을 숨긴 사실이 드러나 불신을 자초하기도 했다. 강 내정자 역시 경찰위원회 이후 "경찰의 신뢰가 위기를 맞이했다"며 '신뢰' 문제를 가장 먼저 언급한 것도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검찰과의 관계수립 문제도 강 내정자가 해결해야 할 숙제다. 경찰은 유씨 부자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줄곧 검찰과 삐걱대는 '엇박자 수사'로 국민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았다. 김형식 전 서울시의원의 살인교사 사건에서도 현직 검사가 등장하는 뇌물장부를 두고 경찰은 검찰과 기싸움을 벌여와 불협화음을 일으켰다.
게다가 강 내정자 개인으로서는 경찰대 출신의 첫 치안총수라는 축배를 들게 됐지만 이에 못지않게 경찰 내부에서 경찰대와 비경찰대 간 알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찰대 출신들이 간부 자리를 많이 차지할 경우 승진 문턱이 좁아진 비경찰대 출신들의 불만이 커져 자칫 계파갈등으로 번질 우려도 있다.
서울청장이었던 강 내정자는 지난해 12월 대규모 경찰병력으로 민주노총 강제 진압작전에 나섰지만 결국 맨손으로 돌아와 '헛발질' 수사라는 비난을 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