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리빌딩 파이낸스 2013] 안에선 벤처·중기분야 발 넓히고 밖으론 해외M&A 모색을

■ 기로에 선 금융산업 <2> 새 성장 비전을 찾는다<br>① 금융영토를 확장하라



IT·BT기업 맞춤형 금융지원
원高로 외국사 인수 기회 늘고 대형 플랜트 등 틈새시장도 많아

자산관리·고령화 상품 개발 등 비이자수익 늘리는 방안도 찾길



저금리와 저성장의 공포가 금융권을 짓누르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이 2% 초반 성장을 한 데 이어 올해도 3%대를 달성하기가 힘겨워 보인다. 전세계적인 소비자보호 강화는 어깨를 더 무겁게 하고 역마진 우려는 금융사를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고 있다.

하지만 위기는 동시에 기회다. 지금까지의 성장전략에서 빠져나와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그리고 그 해답은 '금융영토 확대'에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리스크 관리에만 집착하는 것은 퇴보의 지름길이다. 저금리 속에서 줄어드는 이자마진을 보충하려면 신성장동력 분야를 찾거나 고객층을 더 넓혀야 한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금융산업실 상무는 "달라진 금융환경에서 어떻게 살아갈지를 고민해야 할 때"라며 "금융영역을 넓히고 금리와 관련되지 않은 상품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영토 확장, '창조경제'에 답 있다=금융시장은 국내와 해외로 나뉜다.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국내 금융시장은 이미 포화상태다. 가계부채는 1,000조원에 이르고 소상공인 같은 자영업자 대출은 부실이 심화하고 있다. 안정적인 돈줄 역할을 하던 부분이 부메랑이 돼 돌아오고 있다.

그러나 새 시장은 언제나 열려 있다. 내부가 포화라지만 여전히 남은 길은 있다. 공교롭게도 그 길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에 있다. 박 당선인은 과학기술과 소프트웨어(SW)를 통해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창조경제를 중시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제조업 강국인 독일이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굳건한 것은 강소기업들 덕이다. 정보기술(IT) 외에 바이오기술(BT) 등도 맞춤형 금융지원이 세계적인 대세다.

생각을 돌려보면 이는 저금리ㆍ저성장 시대 금융사들이 가야 할 길이기도 하다. 정부의 산업정책에서는 사람으로 치면 피 역할을 하는 금융사의 자금지원이 필수다. 우리나라가 진정한 선진국으로 한단계 더 올라서기 위해서는 강소기업을 더 많이 길러내고 기술력 있는 기업을 더 키워내야 한다. 금융사의 방향도 여기에서 찾아야 한다.

지금까지 금융사들은 담보만 따졌다. 손쉽게 돈을 벌 수 있어서다. 앞으로는 신성장 영역에 적극적으로 발을 담가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말이다. 벤처와 성장 가능성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벤처캐피털이나 엔젤펀드에서 은행ㆍ증권ㆍ보험으로 확대되면 금융사도 성장 엔진을 이어갈 수 있다. 금융사들은 벤처창업 및 중소ㆍ중견기업 인수합병(M&A)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 금융사들이 투자자로 나서 쏠쏠한 재미를 보는 것도 가능하다.


◇해외 영토확장, 마지막 기회=해외에서의 영토확장은 사실 올해가 마지막일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미국과 일본의 대규모 양적완화에 따른 유동성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저금리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데다 글로벌 경기가 조금씩 회복의 기운을 띠는 만큼 더 이상 늦추다가는 영원히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것이다. 원화도 어느 때보다 비싸다. 같은 돈으로 더욱 싸게 외국 금융사를 살 수 있다는 뜻이다.

관련기사



틈새시장도 얼마든지 있다. 동남아시아나 남미 지역의 발전소 건설 같은 대형 플랜트 사업이나 달러 자금이 풍부한 중동지역 진출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 이는 은행은 물론 저금리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보험사에도 좋다. 보험사는 장기로 자산을 굴려야 하는데 대형 플랜트 사업도 최소 수년 이상 가기 때문이다.

카드나 캐피털 같은 여신사에도 해외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다. 현대캐피탈은 이미 해외진출을 기업의 주된 성장동력으로 삼았다. 자동차 금융이나 대출시 신속하고 간편하다는 게 현지인들이 찾는 이유다. 다양한 카드 상품과 IT시스템은 해외에 수출하는 데도 손색이 없다.

◇비이자수익 높일 수 있는 방안 찾아야=상황이 어려울 때는 잃지 않는 게 버는 일이다.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불필요한 비용과 제도는 미리 걷어내고 조직운영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 부실자산에 대한 선제 대응도 필요하다. 저금리ㆍ저성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하에서 기존의 관리수준으로는 견디기 어렵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박덕배 박사는 "리스크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가 됐다"며 "첫째도 둘째도 리스크 관리라는 측면에서 건전성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용협동조합이나 새마을금고 같은 상호금융기관들은 몸집을 비대하게 키우기보다 지역밀착형 영업을 더 강화해야 한다. 추가 구조조정이 예정돼 있는 저축은행 업계도 자산건전성 확보가 최우선이다.

해답은 자산관리자문 서비스에도 있다. 프라이빗뱅킹(PB) 고객뿐 아니라 자산관리와 상담 요구는 이미 대중화되고 있다. 가계부채와 하우스푸어들에게는 자산상담이 중요하다. 적절한 수준의 수수료와 충실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가 된다면 새로운 '블루오션'이 될 수 있다. 단순 예대마진과 자동화기기(ATM) 이용수수료로 돈을 버는 시대는 지났기 때문이다. 금융연구원의 서정호 박사는 "고객관계관리 영업으로 고객에게 종합 서비스를 제공해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며 "다양한 교차판매와 영업심화 전략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강조했다.

자산관리 서비스는 고령화 상품과도 연계할 수 있는 기반이다. 관리를 받는 곳에서 새로운 상품에 가입할 가능성은 매우 높다. 금융사들 입장에서는 저금리ㆍ고령화 시대에 맞는 신상품을 개발ㆍ판매해야 한다. 연금ㆍ역모기지와 관련한 다양한 노후대비 상품을 개발해 새로운 상품가입 수요를 만드는 데 금융사들의 길이 있기 때문이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