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이 한반도를 벗어나 세계화를 향한 첫발을 내디뎠다. 6일 훈민정음학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州) 부톤섬 바우바우시(市)는 최근 이 지역 토착어인 찌아찌아어(語)를 표기할 공식 문자로 한글을 도입했다. 바우바우시는 이에 따라 지난 7월21일 찌아찌아족(族) 밀집지역인 소라올리오 지구의 초등학생 40여명에게 한글로 된 찌아찌아어 교과서를 나눠주고 주 4시간씩 수업을 시작했다. 한글 관련학계는 예전에도 중국 헤이룽장(黑龍江)과 태국ㆍ네팔 오지의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한글을 전파해왔으나 공식문자로 채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독창적이고 우수한 문자라는 명성에도 불구하고 ‘민족문자’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했던 한글이 한반도를 벗어나 세계로 진출한 것은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을 세계와 공유하는 동시에 ‘문맹타파’라는 세종대왕의 창제이념을 받들고 발전시키는 길이라는 것이 한글 관련학계의 공통적인 평가다. 이번 사업은 인구 6만여명의 소수민족인 찌아찌아족의 문자가 없기 때문에 모어(母語) 교육을 못해 고유어를 잃을 위기에 처한 것을 알게 된 훈민정음학회 관계자들이 바우바우시를 찾아가 한글 채택을 건의, 지난해 7월 한글보급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면서 가시화됐다. 학회는 이들을 위한 교과서를 제작ㆍ보급했다. ‘바하사 찌아찌아1’이라는 제목의 이 교과서는 ‘부리(쓰기)’ ‘뽀가우(말하기)’ ‘바짜안(읽기)’의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으며 모든 텍스트가 한글로 표기됐다. 교과서에는 찌아찌아족의 언어와 문화, 부톤섬의 역사와 사회, 지역 전통설화 등의 과정에 한국 전래동화인 ‘토끼전’이 포함됐다. 시는 이와 더불어 인근 제6고등학교 학생 140여명에게 매주 8시간씩 한국어 초급 교재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훈민정음학회 회장인 김주원 서울대 언어학과 교수는 “찌아찌아족의 한글채택은 사라져가는 언어와 문화를 한글로 살려낸다는 차원에서 인류문화사적 의미가 크다”며 “이번 공식문자 채택을 계기로 한글 세계화 사업을 확대해 지구상 최초의 한반도 밖 ‘한글마을’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