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18개 국내 은행의 BIS비율은 13.88%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보다 0.08%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기본자본(Tier1)비율은 11.05%로 0.04%포인트 떨어졌다.
BIS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말 12.31%를 기록한 후 ▦2009년 말 14.36% ▦2010년 말 14.55% 등으로 상승세를 타다 지난해 말 13.96%를 기록하며 다시 13%대로 내려앉았다.
국내 은행이 1ㆍ4분기 3조4,000억원의 순이익을 거두고도 BIS비율이 떨어진 것은 농협은행 출범에 따른 자본감소 효과(1조5,000억원)와 대출금 증가(7조8,000억원)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바젤Ⅱ 개정안이 본격 시행되면서 위험가중자산이 22조3,000억원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은행별로는 씨티(16.44%), 신한(15.33%), 농협(15.15%), 산업(15.11%) 등이 15%를 초과했고 경남(12.64%), 전북(12.29%), 기업(11.53%), 수출입(10.58%) 등이 13%를 하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금융불안과 내년부터 시행되는 바젤Ⅲ 자본규제에 대비해 자본적정성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