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우리 사회의 통합을 이뤄내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화의 상징이자 남북화해에 앞장섰던 김 전 대통령의 삶의 궤적을 기리고 한국 정치의 거목으로 그가 이룬 업적과 성과를 되돌아보는 과정에서 이 같은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해묵은 지역감정과 진보와 보수 간 이념대립, 노사 간 갈등 등으로 선진국으로 가는 발목을 스스로 잡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오는 23일 국장으로 엄수될 김 전 대통령의 영결식을 계기로 오래된 분열의 고리를 끊어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앞서 지난 5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는 우리에게 크나큰 충격으로 다가왔었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의 서거는 김 전 대통령 서거와는 다소 구별된다. 지역주의 탈피와 사회통합을 외치던 두 전직 대통령이지만 노 전 대통령 서거가 화두를 던진 것이라면 김 전 대통령 서거는 갈등과 반목ㆍ질시 등을 그 스스로 모두 안고 가 이제는 사회통합의 구체적인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숙제를 남겼기 때문이다. 즉 전직 대통령 한 명은 스스로 몸을 던져 갈등과 분열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요구한 반면 또 한 명의 전직 대통령은 그 성찰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 전체가 새롭게 태어나야 한다는 구체적 행동을 요구한 것이다.
정부도 김 전 대통령의 영결식을 국장으로 엄수하기로 하는 등 화해를 도모하고 있다. 김 전 대통령의 업적과 노벨 평화상 수상이라는 정치적 위상, 그리고 지역과 이념 갈등을 극복하고 통합을 바라는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한 결정인 셈이다.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김 전 대통령께서는 이 나라 민주화를 위해 반세기를 헌신했고 인권신장과 민족 문제로 많은 고초를 겪으면서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을 성사시켰으며 오늘날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켰다”며 국장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실제로 김 전 대통령 장례가 전직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국장으로 치러지면서 화합의 선례로 자리매김할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김 전 대통령이 생의 마지막에 남긴 ‘화해와 용서’의 화두가 국장이라는 장례형식을 통해 이념과 당파ㆍ지역 갈등과 반목을 뛰어넘는 국민 통합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도 특사조문단을 파견하기로 해 경색된 남북관계 역시 일정 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