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올 대선은 '유비쿼터스 大戰'

위성으로 전국270곳 유세 중계… 모바일로 24시간 유권자와 연결…<br>선거법상 규제많아 군소후보 UCC 활용은 예상밖 저조


17대 대선의 공식 선거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이전의 대선과는 판이한 대선 미디어전이 펼쳐지고 있다. 서울 여의도에 100만명의 유권자를 동원하던 과거 ‘대중유세’ 기법(1987년, 92년)이 ‘TV토론’(97년), 인터넷(2002년)으로 바뀌더니, 올해는 최첨단 ‘유비쿼터스(ubiquitousㆍ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선거로 급변했다. ◇‘유비쿼터스’ 유세전=유비쿼터스 선거를 위해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은 KT가 보유하고 있는 SNG(Satellite News Gatheringㆍ위성 정보수집) 차량을 빌렸다. TV 카메라팀이 현장화면을 촬영해 SNG차량에 보내면, SNG차량에 있는 대형 위성송신안테나가 이 화면을 상공에 있는 무궁화 3호 위성으로 쏜다. 위성은 유세장면을 전국 곳곳에 배치된 홍보차량에 실시간으로 보내고, 홍보차량에 설치된 80인치 대형 화면에서 그대로 중계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ㆍ이 후보는 유세를 전국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전국 유권자들과 생중계 토론회도 개최키로 했다. ◇모바일ㆍ인터넷도 주요 무기=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는 모바일로 24시간 당원은 물론이고, 유권자들과도 만날 수 있도록 당사와 자택, 이동차량 등에 화상회의시스템 ‘화통 MB’를 갖췄다. 또 지난달 23일 개국한 인터넷방송국 ‘엠붐캐스트(MBoomCast)’를 통해 전국 각지에서 벌어지는 주요 선거유세의 현장을 하루 한차례 이상 인터넷 생중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엔마루닷컴(http://nmaru.com)’을 개설, 한나라당과 이 후보 지지 블로거들의 글을 수집해 네티즌들에게 알리고 있다. 신당 정동영 후보는 휴대전화를 통해 유권자들과 직접 대화하는 ‘내 손안에 대통령, 모바일 국민제안 #2080’ 캠페인을 벌여 유권자들의 정책제안 등을 담은 문자ㆍ음성ㆍ사진ㆍ동영상 등을 접수받아 당 홈페이지에 연결해 선거운동에 반영하고 있다. ◇블로그 대선전도 ‘후끈’=지난 5일 검찰이 BBK관련 수사 결과를 내놓은 직후 12시께 블로그 전문 사이트인 올블로그에는 한 시간 남짓 만에 570여 건의 글이 올라 왔다. ‘검찰이 이 후보 뒤로 일렬종대로 섰다(온달왕자)’는 글도 있다. 이에 이명박 후보 지지 블로거들은 ‘이명박 BBK 무혐의 인정(김우석)’ 같은 글을 올리며 맞섰다. 대선 후보가 직접 운영하는 블로그도 뜨거워졌다. 이명박 후보 블로그에는 ‘마침내 진실이 승리했습니다’란 글이 올랐다. 정동영 후보 블로그에는 ‘저는 BBK를 취재한 기자였습니다’란 박영선 의원의 TV 지지 연설문 전문을 실었다. 블로그의 각 게시글에는 수십 건씩의 찬반 댓글이 붙었다. 블로그 대선전이 뜨거워지자 각 캠프는 블로거 관리에 팔을 걷었다. 정 후보 측은 이미 천정배 의원이 단장을 맡은 블로그 수호천사단을 발족해 ‘우군 블로거’를 늘리고 있고, 이 후보 측은 12월 초에 1,000여 명의 적극적인 지지 블로거로 짜인 경제 메타 블로그를 오픈했다. 문국현 후보 측은 블로그 10만 개를 엮는 작업을 추진 중이다. ◇UCC 홍보전 한계=하지만 올해 가장 뜨거운 이슈가 될 전망이던 ‘사용자제작콘텐츠(UCC) 대선전’은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다. 반면 해외 사이트에서 대선 후보들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우리 선거법이 인터넷상에서의 후보 지지와 비판 등을 엄격하게 통제하자 네티즌들이 외국 사이트로 몰리면서 빚어진 현상이다. 유튜브에는 최근 이명박 후보를 둘러싼 의혹을 소개한 ‘무릎팍도사’, 애초에 파병을 찬성해놓고 대선 때가 되자 파병 연장 반대에 나선 ‘오락가락 정동영’ 등의 UCC가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 메니페스토 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선거법 위반으로 UCC 삭제 건수만 6만에 이른다. 이로 인해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는 의사 표현이 가능하지만 국내 사이트는 여전히 조용한 실정이다. 대선시민연대 관계자는 “과잉단속으로 인해 인터넷 여론 형성이 왜곡되고 있다”며 “외국의 인터넷 사이트를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현실에서 이처럼 네티즌들의 정치적 의사 표현을 강하게 규제하는 건 시대착오적”이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