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은 로디움그룹과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자료를 인용해 최근 국제 유가가 배럴당 60달러대까지 떨어진 데 따른 주요 에너지 수입국의 비용 절감 효과 및 주요 에너지 수출국의 수입 감소 효과를 보도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GDP의 2.4%에 해당하는 원유 수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분석 대상국 중 가장 혜택이 클 것으로 분석됐다.
인도와 일본도 각각 GDP의 1.8%와 1.2%에 해당하는 원유 수입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독일, 중국(이상 0.8%), 미국(0.5%)도 저유가에 따른 수혜국으로 분류됐다.
반면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들을 포함한 산유국들은 수입이 크게 줄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효과가 있을 전망이다.
가장 타격이 심할 국가는 쿠웨이트로 원유 수출 대금 감소가 GDP의 18.1%에 이른다.
지난달 OPEC 회의에서 원유 생산 축소에 반대하며 동결 결정을 이끌었던 사우디아라비아도 GDP의 15.8%에 해당하는 수출 대금 감소가 예상됐다.
이라크(GDP 대비 13.6%), 베네수엘라( “ 10.2%), 아랍에미리트( ” 8.6%), 나이지리아( “ 5.4%), 러시아( ” 4.7%) 등도 원유를 팔아 벌어들이는 수입이 크게 줄 것으로 예측됐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저유가가 글로벌 경제 성장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데 정책 전문가들이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스탠리 피셔 부의장은 저유가를 “공급 쇼크”라고 부르며 미국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미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을 3.1%에서 3.5%로 올렸다.
유럽중앙은행(ECB)의 마리오 드라기 총재도 “(세계 경제에) 명백하게 긍정적”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은 일부 경제학자들은 최근 유럽의 부진, 중국의 성장동력 약화 등과 맞물려 글로벌 성장의 우울한 신호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