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몰려오는 차이나머니… 효과 극대화전략 고민해야

차이나머니의 국내 유입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관광뿐 아니라 산업·금융·부동산 가릴 것 없이 곳곳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한국은행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7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336만1,65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5만6,466명(45.8%) 늘어 전체 외래관광객의 42.1%를 차지했다. 특히 7월에는 중국인 관광객(69만2,053명)의 비중이 외래관광객(135만4,753명)의 절반을 넘으면서 우리나라의 관광수지 적자가 1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4분기 외국인 카드 사용액이 29억1,000만달러로 전분기보다 31.2% 늘어난 것도 중국인 관광객의 씀씀이 덕분이다. 차이나머니에 힘입어 우리나라의 관광산업이 활력을 얻고 있는 셈이다.


중국 자본이 한국 기업에 눈독을 들이는 일도 많아졌다. 2012년에는 디샹그룹이 국내 패션 기업 아비스타 지분 36.9%를 122억원에 인수하더니 올해 들어서는 훙하이그룹이 SK C&C 지분 5%를 3,800억원에 사들이고 텐센트는 CJ E&M 지분에 5,000억원 투자했다. 금융권에도 '왕서방'의 입질이 왕성하다. 국내 거주자의 위안화 예금 가입금액은 지난달 말 현재 162억달러로 2012년 이후 약 1년반 만에 100배로 폭증했고 증시에서도 올 들어 7월까지 외국인 순매수 6조3,730억원의 30%에 달하는 1조8,850억원을 중국계 투자자들이 차지했다. 중국계 자본은 이처럼 우리 기업과 시장에 숨통을 틔워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관련기사



하지만 문제도 만만치 않다. 유사시 차이나머니의 급격한 이탈 리스크를 초래하지 않을지 걱정된다. 특히 중국계의 부동산 투자는 우려를 낳기에 충분하다. 제주도의 경우 2010년 부동산투자이민제가 시행된 후 올 상반기까지 투자실적이 8,600억원(1,020건)에 달했을 정도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지만 소비·고용 효과는 미미한 반면 부동산 값만 올려놓는 부작용이 커지고 있다. 심지어 세제혜택과 영주권만 받고 철수해버리는 사례까지 늘어나는 형편이다. 서울경제신문이 29일 보도에서 '중국인의 제주 투자, 그들만의 리그'라고 지적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차이나머니의 빛과 그림자를 제대로 살피는 한편 기회요인을 극대화하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와 더불어 차이나머니의 급격한 이탈이 초래할 리스크에 대한 대비책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중국 의존도가 커지는 데 따른 위험요소를 최소화하는 전략 마련에 절대 소홀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