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이후에 이산가족 상봉 가능할 듯=양측은 이번 접촉에서 지난 2010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이뤄질 이산가족 상봉행사의 장소, 일시, 상봉 규모와 같은 실무적인 문제는 물론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대북 지원 문제 등을 집중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중 이산가족 상봉 시기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제안한 추석 전후는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상봉행사 실무를 주관하는 대한적십자사 내부에서 추석까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이산가족의 상봉 희망 및 생사 여부 조사 등의 준비작업을 마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상봉 장소에 대한 이견도 예상된다. 북한은 상봉 장소로 이미 금강산을 제시해둔 상태지만 우리 측은 구체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현재 정부는 금강산관광이 중단된 상태이고 이산가족들의 편의성 등을 감안,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개최하자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북한이 금강산을 고집하고 있어 우리 측이 북한과 다른 입장을 고수할 경우 행사 자체가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북측 입장을 수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번 실무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 인원을 늘릴 수 있을지 여부도 주목된다. 지금까지 열린 이산가족 상봉에서는 양측에서 각 100명씩 나온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정부는 이들이 대부분 고령인 것을 감안, 상봉 인원을 대폭 늘리기를 희망하고 있다. 정부의 바람대로 이산가족 상봉 인원을 늘리려면 대북 지원책 등의 '당근'도 함께 제시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당국자는 "가능한 많은 인원이 상봉하도록 하는 것이 정부 방침"이라며 "적십자 실무접촉을 통해 상봉 장소가 결정되겠지만 금강산의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밝혔다.
◇일정 잡지 못하고 있는 금강산 회담=북한이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회담 날짜를 우리 측 제안보다 앞당긴 것은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를 연계하기 위한 복안으로 풀이된다. 북측의 제안대로 회담 일정이 성사되면 이산가족 상봉 문제 논의 직후 금강산관광 재개를 논의할 수 있어 두 사안의 연계가 쉬워지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와 관련해 이산가족 실무접촉 결과를 지켜본 후 북측에 입장 전달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협상 주도권을 쥐기 위한 카드로 활용하는 상황에서 북측의 전략에 끌려다니지 않으려면 상황에 맞춰 대응하는 것이 유리한 까닭이다. 이처럼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회담 날짜는 북한이 18일 '22일'로 제안한 후 우리 측이 '9월25일'로 역제안하고 북측이 또다시 '8월 말~9월 초'로 수정제안하는 등 '핑퐁게임' 양상을 띠고 있다.
한편 금강산관광에 투자한 기업인 모임인 금강산기업인협의회는 22일 자료를 내고 관광 중단으로 인한 업체당 누적피해액이 약 105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들 업체가 모두 49개인 것을 감안하면 총 손실액은 5,180억원에 달한다. 이들은 2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후문에서 집회를 열고 정부에 금강산관광 재개와 생계지원 등을 촉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