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이미 미국 양적완화 축소의 엄청난 파괴력을 경험했다. 지난달 “하반기 자산매입을 축소하고 내년 중반에 중단할 수 있다”는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 의장의 한마디에 주가와 채권값은 급락했고 외국인들은 일주일 새 2조원 가까운 자금을 빼갔다. 중국ㆍ인도를 비롯한 주요 신흥국들도 예외 없이 같은 길을 걸었다. 출구전략이 본격화된다면 이와 비교할 수 없는 대혼란이 야기될 가능성이 높다. 세계 경제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품고 있는 셈이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초래할 후폭풍은 특정 국가의 힘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세계 각국이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힘을 합쳐 대비책을 만들어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정책공조가 필요한 이유다. 최근 현 부총리가 “G20에서 (미국의) 출구전략 대비를 위한 각국 공조를 얘기하겠다”고 밝힌 것은 이런 의미에서 적절했다.
하지만 국가 간 이해관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쉽지만은 않다. 미국ㆍ캐나다와 같이 경기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국가는 돈 풀기를 줄여도 영향이 크지 않지만 우리나라 같은 국가들은 급작스런 자금이탈로 인한 혼란을 걱정할 수밖에 없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에 대해 선진국과 신흥국들이 입장차이를 보이는 이유다.
미국의 출구전략은 신흥국만의 문제도 아니다. 중국ㆍ인도 등의 경제가 타격을 받는다면 이들 국가와의 무역규모가 큰 선진국들도 멀쩡할 수는 없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우려처럼 세계 경제가 신흥국발 새로운 위기에 직면하지 않으려면 서로 머리를 맞대야 한다. 모쪼록 G20이 정책공조를 통한 해법도출에 성공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