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은행과 당국은 무사태평이다. 금융당국은 성과보상 체계 수술, 점포 통폐합 등을 요구하는 수준에 그쳤다. 은행들도 임원급여 삭감ㆍ반납, 점포 180개 안팎 정리, 통폐합을 약속한 정도다. 박근혜 정부가 고용률 70%를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운데다 하우스푸어ㆍ전월세 대책 등 각종 정책에 은행을 동원하고 관치금융으로 내려온 낙하산 경영진이 이에 '화답'한 결과다.
세계경제포럼(WEF)이 지난해 발표한 우리나라 금융의 경쟁력과 자율성은 매우 초라하다. 경쟁력은 71위로 대만(19위)ㆍ인도(21위)ㆍ태국(43위)ㆍ인도네시아(70위)에도 뒤지고 자율성은 114위로 최하위권이다. 국내 총금융자산 약 3,300조원의 55%를 차지하는 은행이 성장성ㆍ국제화ㆍ수익성 등 대부분의 지표에서 낙제점 수준이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연간 수조원의 순익을 낼 때도 수익원 다변화, 국제화 기반을 다지지 못했다. 예금ㆍ대출이자 간 차익으로 손쉽게 돈 장사를 해온 관성에서 벗어나지 못해 수익에서 비(非)이자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17%에서 지난해 9%로 떨어졌다. 그 비중이 30~60%대인 선진 은행들과 딴판이다. 게다가 7,835개 점포 가운데 10% 이상이 적자다. 뼈를 깎는 구조조정과 비이자수입 확대 없는 수익성 개선은 한낱 공염불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