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간 지속돼온 부동산 광풍이 우리 경제에 각종 부작용을 양산하더니 이번에는 집값이 하락하면서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003년부터 시작된 부동산 가격 상승은 빈부격차 심화, 근로의욕 저하 등의 문제를 일으켰을 뿐 소비확대나 건설투자 증가 등의 긍정적인 효과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 집값이 하향 안정세를 보이면서 가계의 신용 위험도 증가,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으로 인한 소비위축, 노후대비 여력 저하 등 부동산발 경제 리스크를 키우고 있다. 30일 국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전국 주택(아파트와 일반주택 포함) 값은 2003년 5.7%, 2004년 -2.1%, 2005년 4.0%, 2006년 11.6% 상승했다. 2004년에만 잠시 하락했을 뿐 4년 간 이어진 상승장에서 평균 4.8%나 올랐다. 반면 부동산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소비확대와 건설투자 증가는 미미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003년 -1.2%, 2004년 -0.3%, 2005년 3.2%, 2006년 4.2% 등을 기록했다. 건설투자도 2003년 7.9% 증가했지만 2004년 1.1%, 2005년 0.4%, 2006년에는 -0.1%를 보였다. 부동산 가격 폭등이 ‘부의 효과’를 창출하지 못한 채 내수회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도 거의 없었던 셈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주택 가격이 올라도 당장 현금화할 수 있는 게 아니고 주택 신규 구입자는 대출금리 부담 때문에, 미(未)구입자는 앞으로 집을 사기 위해 소비를 줄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더구나 최근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선 반면 주택담보대출 및 신용대출 금리는 오르면서 가계발 금융위기 가능성이 고조되고 내수회복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신용상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전체 가계 소비는 0.4%포인트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일자리 창출 부진으로 실질소득 증가세가 떨어진 가운데 가계의 이자부담 증가 등이 올 하반기 민간소비 회복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정부와 은행 등 금융기관은 부동산 가격 상승의 효과를 톡톡히 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은행ㆍ보험사ㆍ저축은행 등 금융산업의 자산 증가율은 2003년 9.5%, 2004년 6.3%, 2005년 8.3%, 2006년 15.1% 등을 기록했다. 정부 국유재산도 2006년 269조8,000억원으로 2003년보다 33.5%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