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통령은 혼자가 아니라 청와대ㆍ행정부 및 집권여당과 함께 국정을 이끄는 존재다.
청와대 비서진을 포함해 국무총리와 각부 장관 등 내각은 물론 대통령을 만든 새누리당과 협력하고 때로는 견제하는 작용의 반복이 국정이다. 그래서 국민은 대통령뿐 아니라 주변 인사를 통해 새 정부를 가늠하고 평가한다.
또 대통령의 인사는 국민에게 보내는 메시지다. 위성미(위스콘신ㆍ성균관대ㆍ국가미래연구원), 성시경(성균관대ㆍ고시ㆍ경기고) 등 신조어에 나타나듯 박근혜 대통령은 첫 인사에서 '안정과 신뢰'라는 가치를 강조했다.
또 대통령의 인사과정에서 불거진 논란 또한 우리 사회의 수준을 그대로 반영한다. 인사검증의 기준과 방법, 후보자의 전관예우 의혹 등이 사회를 뜨겁게 달궜듯이 대통령과 주변 공직에 대한 기대와 눈높이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1기를 구성할 대통령의 사람들을 되짚어본다.
박근혜 대통령은 청와대 진용을 구축하면서 비서실장과 국가안보실장ㆍ정무수석을 친박 핵심이거나 이전부터 지근거리에서 그를 도운 사람들로 기용했다.
국정운영 초기에는 국회ㆍ정부 등과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조가 중요하고 북한 핵실험 사태로 안보 문제가 어느 때보다 강조되면서 국정의 핵심인 정무와 안보라인에 친박 인물들을 발탁했다.
반면 수석비서관에는 해당 분야에서 잔뼈가 굵었고 실력을 인정받은 실무형 전문가를 전면에 배치했다.
청와대 파워인맥의 대표로는 허태열 비서실장, 이정현 정무수석,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최성재 고용복지수석이 꼽힌다.
허 비서실장은 16ㆍ17ㆍ18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 최고위원과 국회 정무위원장 등을 역임한 친박계 핵심이다.
박 대통령이 지난 2007년 대선후보 경선에 패배한 후 공식직함 없이 비주류로 지낼 때 허 실장은 당 최고위원으로서 친박근혜계를 대표하는 역할을 했다. 지난해 4월 총선에서 낙천한 뒤 불출마를 선언했으며 지난 대선국면에서는 재외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박 대통령을 도왔다. 허 실장은 박 대통령을 가장 가까이에서 정무적으로 보좌하며 국회와 정부 간 가교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비서실장이 중앙인사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장차관급 고위직 인사를 주도하게 된다는 점에서 그의 역할은 더욱 막중하다.
허 실장과 투톱체제를 구축해 청와대를 이끌게 되는 이정현 정무수석은 박 대통령의 '복심(腹心)'이다. 2004년 17대 총선 이후부터 박 대통령과 인연을 맺기 시작했으며 이후 박 대통령의 의중을 전달하는 실질적인 대변인 역할을 해왔다. 대선기간 경제민주화ㆍ복지 등 경제 관련 이슈가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자 서울경제신문 등 경제지 기자들을 불러 당시 박근혜 후보자와의 인터뷰를 성사시킴으로써 경제 이슈를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박근혜 내각이 실무형 전문가들로 채워진 점을 감안하면 청와대의 허태열ㆍ이정현 라인이 국정운영의 핵심축을 이루면서 '작지만 강한' 청와대를 구축할 것으로 예상되며 내각과 의견마찰이 있을 때는 중재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비서실ㆍ경호실과 함께 청와대 '3실'의 한 축을 맡게 되는 김장수 국가안보실장도 박근혜 파워인맥의 대표주자다. 그는 2008년 총선 때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 비례대표 공천으로 여의도 정치권에 입성했으며 지난해 대선캠프 국민행복추진위원회에서 국방안보추진단장을 맡아 박 대통령의 국방ㆍ안보 분야 공약을 만들었다. 또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는 외교국방통일분과 간사로 중용될 정도로 박 대통령의 각별한 신망을 얻고 있다.
박근혜 복지공약을 총괄한 최성재 고용복지수석도 자신을 내세우지 않고 박 대통령을 도운 숨은 공로자다. 대선과정에서는 국민행복추진위원회에서 '편안한삶추진단' 단장으로 활동하며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100세 시대 일자리정책 등 박 대통령의 대표적인 복지공약을 주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