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2월 4일] '파업 제로'에서 노사민정 대타협으로

[사설/2월 4일] '파업 제로'에서 노사민정 대타협으로 지난 1월 새로 발생한 파업이 단 한건도 없다는 것은 경기침체 양상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우회적으로 보여준다. 지난해 여름까지만 해도 한달 평균 20여건의 파업이 일어났으나 11월 2건, 12월 1건으로 뚝 떨어지더니 올 1월에는 전무했다. 리먼브러더스 파산과 함께 글로벌 금융위기 폭발 이후 파업이 주춤해졌고 이어 실물경제 불황이 본격화되면서 노사분규가 수그러지고 있는 것이다. 월간 파업 제로 현상은 1996년 3월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노조도 작금의 경기침체 위기를 절감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제상황을 맞아 회사 생존과 고용유지에 위기감을 느껴 무리한 요구나 강경투쟁보다 노사 타협으로 난국타개에 나서는 유연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노조가 사측에 임금협상을 일임하거나 동결ㆍ삭감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경제여건 악화로 상생의 노사관계가 어쩔 수없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지만 노사평화 자체는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무파업이 계속될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경영난을 견디지 못한 기업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경우 쟁의가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대자동차 등 일부 노조는 조업단축에 반발해 근무시간 및 임금유지를 요구하면서 쟁의결의를 해둔 상태이기도 하다. 상생의 노사관계가 중요하지 않은 때가 없지만 지금은 특히 그렇다. 요즘 경기상황은 월 단위가 아니라 주간 단위로 예측해야 할 만큼 시계제로 상태나 다름없다. 노사가 똘똘 뭉쳐 힘을 합쳐도 위기를 헤쳐나가기 힘든 판에 파업을 하는 것은 공멸하자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노사정과 시민단체ㆍ학계ㆍ종교계 등 각계 대표들이 참여하는 노사민정 비상대책회의가 3일 발족했다. 대책회의는 일자리 나누기와 사회안전망 확충 방안을 논의한 뒤 각 주체의 고통분담을 내용으로 한 사회 대타협 선언을 도출할 계획이다. 대타협 성사 여부는 노동계에 달려 있다. 민주노총은 대책회의 참여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노동계의 유연한 인식과 자세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그래야 무파업이 계속 이어질 수 있고 일자리 유지와 경제위기 극복도 가능해진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