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1일 추석 이산상봉 행사를 나흘 앞두고 돌연 연기한 것은 금강산관광 재개라는 남한의 정책 전환을 노렸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북한은 종전에도 남북관계나 한반도 정세 등과 연관시켜 이산상봉 행사를 수 차례 중단 또는 연기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제4차 이산가족 행사가 추진된 2001년이다.
북한은 그해 10월 12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담화를 통해 이산가족 상봉 행사와 북한 태권도시범단의 서울 방문을 일방적으로 연기했다.
미국의 9·11사태 이후 남한에 비상경계태세가 내려진 살벌한 분위기에서 남북 간 대화와 왕래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없다는 것이 북한의 주장이었다.
당시 이산가족 상봉을 불과 나흘 앞두고 있어서 정부와 이산가족 상봉 대상자들은 크게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
남북은 한동안 이산가족 상봉의 접점을 찾지 못하다가 2002년 4월 임동원 당시 청와대 외교안보통일 특보의 방북을 계기로 14개월 만에 상봉행사를 재개했다.
이산가족 상봉을 대북지원과 직접 연계시켜 중단시킨 적도 있다.
북한은 2006년 7월 남한이 장관급 회담에서 대북 쌀·비료지원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면회소 건설의 중단을 선언했다.
또 2004년에는 7월 제10차 이산가족 상봉 이후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1년에 두 차례 이상 열리던 이산가족의 만남이 1년 동안 중단됐다.
당시 우리 정부가 김일성 주석의 10주기(7월 8일) 조문 방북을 불허하고 탈북자468명이 집단으로 남한에 입국한 사건이 불거지면서 남북관계가 한동안 경색됐었다.
이런 정치적 이유 외에 북한의 내부 상황이 이산가족 상봉에 걸림돌로 작용한 적도 있다.
북한의 조선적십자회는 2007년 9월 제16차 이산가족 상봉을 늦추자고 대한적십자사에 제안했다.
남한이 그 해 10월 1∼6일로 잡았던 일정을 17∼22일로 보름 넘게 미룬 것이다.
북한의 연기 요청은 이산가족 상봉이 제2차 남북정상회담(10월 2∼4일)과 겹치면서 행사 인력이 부족한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북한은 2000년 12월 열기로 합의한 제3차 이산가족방문단 교환을 추운 날씨 등의 이유로 연기하자고 제안했고 결국 상봉 행사는 이듬해 2월 말이 돼서야 열렸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