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의사와는 무관하게 직장을 옮기는 근로자가 외환위기 이후 7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7일 비자발적 이직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회사를 옮긴 근로자는 지난 98년 61만4,992명에서 2005년 124만8,681명으로 103%나 증가했다. 또 이직자 중 비자발적 이직자의 비중도 2000년 23.2%에서 33.5%로 높아졌다.
이처럼 비자발적 이직자 수가 급증하는 원인은 ▦회사 사정에 의한 퇴직권유 ▦(근로)계약기간 만료 ▦공사종료 ▦폐업ㆍ도산ㆍ공사중단 등으로 상의는 분석했다.
상의는 특히 여성ㆍ중고령자ㆍ저학력자 가운데 비자발적 이직 비중이 높다며 이들에 대한 정책적인 배려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직자 가운데 비자발적 이직자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남성은 32.1%, 여성은 40.4%였고 연령은 50대 이상에서, 학력은 중졸 이하 집단에서 높게 나왔다.
하지만 비자발적 이직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2001년 7월 도입된 전직지원장려금제도의 지원실적은 2004년 31개 사업장 2,696명, 2005년 28개 사업장 1,440명에 불과하고 공공기관이나 단체를 통한 전직지원 실적도 극히 미미한 수준이라고 상의는 지적했다.
전직지원서비스는 비자발적으로 퇴직하거나 퇴직할 예정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취업ㆍ창업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근로자(효율적인 진로 개척 등), 기업(원활한 구조조정, 기업 이미지 제고 등), 정부(사회적 손실 예방, 인력의 사회적 활용증진 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고 상의는 밝혔다.
상의는 전직지원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기업들이 퇴직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경력관리시스템의 구축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부는 전직지원서비스의 지원대상을 개별기업 차원에서 비자발적 이직자 전체로 확대하고 고용지원센터의 전직지원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퇴직자들의 경력을 종합적으로 관리,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비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