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이 42년 만에 방위산업을 접는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두산은 대공포 등을 생산하는 그룹 내 방산기업인 두산DST 보유지분 51%를 모두 매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매각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두산은 IMM프라이빗에쿼티 등 두산DST의 재무적투자자(FI)들이 매각을 진행하고 있는 지분 49%에 대해 우선매수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두산은 오히려 강력한 매각 의사를 나타내며 자료제공이나 실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FI들은 두산이 FI의 지분을 되사지 않을 것으로 확신해 두산의 보유지분까지 함께 제3자에게 매각할 수 있는 동반매도청구권(드래그얼롱)도 행사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두산은 "우선매수권 행사, 보유지분 매각과 관련해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이지만 업계는 지분매각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두산이 당초 예상과 달리 '알짜'로 평가되는 방위산업을 포기하는 것은 면세점사업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두산DST 지분을 모두 매각해 면세점사업을 위한 '실탄' 7,000억~8,000억원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두산은 올해 안에 특허기간이 만료되는 서울 시내면세점 3곳에 모두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면세점사업자로 선정되면 동대문 두산타워에 1만7,000㎡ 규모의 일명 '두타면세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현실적으로 우선매수권을 행사해 두산DST를 되사올 재무적 여력도 넉넉하지 않다. 두산DST가 올해 1조원 이상의 방위사업청 수주를 따내면서 지분가치가 높아져 FI들이 매각하고 있는 지분 49%를 되사오려면 경영권 프리미엄을 제외해도 최소 2,500억원이 넘는 돈을 줘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8월 두산인프라밥캣홀딩스(DIBH) 프리 IPO(상장 전 지분투자)에 이어 최근 두산인프라코어 공작기계사업도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두산 입장에서는 다소 부담스러운 규모다.
두산은 1973년 방산업체로 지정돼 대공포 등을 생산해왔으며 2008년 두산인프라코어가 방위사업 부문을 물적 분할해 두산DST를 설립했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두산은 대공포 등을 생산하는 그룹 내 방산기업인 두산DST 보유지분 51%를 모두 매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매각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두산은 IMM프라이빗에쿼티 등 두산DST의 재무적투자자(FI)들이 매각을 진행하고 있는 지분 49%에 대해 우선매수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두산은 오히려 강력한 매각 의사를 나타내며 자료제공이나 실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FI들은 두산이 FI의 지분을 되사지 않을 것으로 확신해 두산의 보유지분까지 함께 제3자에게 매각할 수 있는 동반매도청구권(드래그얼롱)도 행사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두산은 "우선매수권 행사, 보유지분 매각과 관련해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이지만 업계는 지분매각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두산이 당초 예상과 달리 '알짜'로 평가되는 방위산업을 포기하는 것은 면세점사업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두산DST 지분을 모두 매각해 면세점사업을 위한 '실탄' 7,000억~8,000억원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두산은 올해 안에 특허기간이 만료되는 서울 시내면세점 3곳에 모두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면세점사업자로 선정되면 동대문 두산타워에 1만7,000㎡ 규모의 일명 '두타면세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현실적으로 우선매수권을 행사해 두산DST를 되사올 재무적 여력도 넉넉하지 않다. 두산DST가 올해 1조원 이상의 방위사업청 수주를 따내면서 지분가치가 높아져 FI들이 매각하고 있는 지분 49%를 되사오려면 경영권 프리미엄을 제외해도 최소 2,500억원이 넘는 돈을 줘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8월 두산인프라밥캣홀딩스(DIBH) 프리 IPO(상장 전 지분투자)에 이어 최근 두산인프라코어 공작기계사업도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두산 입장에서는 다소 부담스러운 규모다.
두산은 1973년 방산업체로 지정돼 대공포 등을 생산해왔으며 2008년 두산인프라코어가 방위사업 부문을 물적 분할해 두산DST를 설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