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에서 ADHD 아이를 키우는 이미경 씨(가명)는 아이가 ADHD 진단받고 나서는 단 하루도 마음이 편할 날이 없다. 낭떠러지에 서 있는 느낌,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느낌을 호소한다. 언제부터인가 가슴에 뭔가 뭉쳐있는 것 같은 느낌도 생겼다. 이러다 아이보다 엄마인 본인이 먼저 무너져 내릴 것 같은 불안감도 있다.
국내 ADHD로 진단받는 아이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ADHD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높아진 상태다. 이제 ADHD는 하지만 ADHD 아이를 둔 부모들의 삶 또한 잘못된 사회적 인식에 의해 여러 가지 피해를 입고 있어 제대로 조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ADHD아이를 키우는 어머니의 60-70%는 우울증을 앓고 있다고 알려질 정도로 부모의 부담은 상당하다. 이들이 겪는 어려움은 다양하다. ADHD 아이와 함께 고군분투하고 있는 엄마들이 이겨내야 할 고충들에 대해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의 도움말로 보다 상세히 알아봤다.
▲내가 잘못 해서 그렇다는 죄책감= 내가 잘못 키워서 아이가 아프다는 죄책감이 가장 힘들다. 특히 맞벌이 부모는 아이에게 충분한 사랑을 주지 못했다는 생각에 퇴사를 고민하기도 한다. 주변에서도 문제 아이 뒤에는 항상 문제 부모가 있다는 죄명을 씌워 더 힘들어진다.
▲또래와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를 바라보는 안타까움= 아이가 화를 잘 내고 고집이 세기 때문에 친구들이 아이를 멀리 하는 경우가 많다. 주변에 도움을 청해도 잘 해결되지 않는 문제라 가슴이 미어진다.
▲아이에게 자주 화내고 폭발한 다음 자괴감= 미적거림이 심해 여러 번 얘기해야 겨우 움직이거나 혼나고 나서도 돌아서면 잊어버리고 같은 잘못을 반복하는 행동특성 상, 부모가 아이에게 자주 화내고 소리 지르고 심지어 체벌도 자주 하게 된다. 다른 자녀에게는 부드럽게 말하는 상황도 ADHD 아이에게는 비꼬듯 말하게 되기도 한다. 아이와 부딪힌 후에는 항상 후회가 밀려오고, 그럼에도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자신에게 자괴감이 들기도 한다.
▲공부나 신변처리를 항상 도와주어야 하는 부담= 숙제나 시험준비를 할 때는 늘 옆에서 지키고 있어야 하고, 등교준비나 잠자리에 들 때에도 곁에서 재촉하지 않으면 제대로 되지 않는다. ADHD 아동이 있으면 다른 가족들은 돌볼 여유가 없어져 미안함도 커진다.
▲주변의 편견이 주는 상처= 매년 학기 초에 만나는 담임선생님은 물론이고 아이 친구들, 또 그 부모들까지 아이의 새로운 사회관계에서 만나게 되는 모든 대인관계에서 염려가 생긴다. ADHD라는 소문이라도 나면 주변과 단절되는 사태도 일어난다.
▲아이가 당하고 와도 항의조차 못하는 억울함= 아이가 다른 아이에게 맞고 오거나 따돌림을 당해도 당당하게 항의도 못하는 상황이 생긴다. 억울해서 따져봐도 오히려 우리 아이 잘못이 더 크다는 얘기를 듣는 경우도 많다. 더욱이 사납다는 뒷말까지 나오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섣부른 주변의 충고= 명절에 만나는 친척이나 주변 이웃들까지도 ADHD 전문가인양 조언을 서슴지 않는다. 그냥 ‘ADHD 아이 키우는 게 그렇게 힘들다는데, 잘 버티고 있다’는 위로라든지 ‘절대로 엄마 탓이 아니니 당당하게 키우라’, ‘아이가 많이 좋아졌다. 약을 먹이는 게 제일 좋으니 꾸준히 먹이라’고 힘을 주는 사람이 가장 고맙다.
ADHD부모를 위한 권익운동을 준비 중인 소아정신과 의사들은 “이제는 ADHD 아동을 키우는 부모들의 고충에 대해서도 주변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때”라며, “부모를 교육의 대상으로 보긴 보다 부모의 아픔부터 먼저 치유해야 가족 모두가 건강해질 수 있다. ADHD를 가진 아이는 건강하게 키우면 창의성이 풍부해서 4차산업 사회가 가장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