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사실상의 승전국인 러시아가 주도하는 러시아·시리아·이란 간 협상 결과 시리아에 4개 ‘긴장완화지대’, 속칭 안전지대 4곳의 경계를 두는 방안이 확정됐다. 안전지대는 △이들리브·라타키아·하마·알레포 등 시리아 북부 △중부 홈스 △수도 다마스쿠스 인근 동구타 △시리아 남부 등 4개다. 이로써 여전히 IS 영향력 아래 있는 분쟁지역을 제외하면 격렬한 교전이 중단되고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유엔 주도 시리아 협상에서 반정부세력을 대표하는 ‘고위협상위원회(HNC)’의 몬제르 마쿠스 대변인은 “긴장완화지대는 시리아 국토 분열의 단초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승전 후 분열론 제기 왜?
‘시아파 벨트 형성’ 견제 위해
러 주도로 안전지대 4곳 확정
IS 격퇴 이후 시리아 분열론이 제기되는 것은 4대 안전지대 창설이 시리아 내부의 희미한 경계선을 더 분명히 하는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시리아 영토 중 정부군이 장악한 지역은 국토의 46% 내외다. 나머지는 자유시리아군, 시리아 국가평의회 및 여러 소수민족 단체들로 조직된 반군과 IS·쿠르드계 등이 나눠 영향력을 발휘해 안전지대 창설이 이들의 경계를 보다 분명히 나누는 효과를 내게 됐다. 물론 쿠르드계 분리·독립 움직임에 대부분의 중동국가들은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시아파 벨트 형성’을 견제하기 위해 시아파 국가인 시리아를 쪼개기를 원하는 세력도 상당하다. 실제 미군 주도 국제동맹군의 지상군인 쿠르드·아랍연합 ‘시리아민주군(SDF)’은 같은날 “러시아군과 시리아군이 동부 데이르에조르에서 우리 대원을 공습했다”고 주장했다. 주요 외신들은 시리아를 둘러싼 세력 간 경쟁이 IS와의 종전 이후에도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