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년 기대주로 분류되던 유무선 통신기업 세종텔레콤(036630)이 유상증자로 실탄을 확보한 후 신사업으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거래 플랫폼을 선택했다. 시장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주가는 연이틀 상승세를 보이며 외국인의 저가 매수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세종텔레콤은 KT·SK텔레콤·LG유플러스에 이은 4위권 이통사로 2010년 온세텔레콤을 인수하며 기간통신사업자 지위를 획득했다. ‘1688’ 등 전화정보서비스와 기업을 상대로 한 국내외 전용회선임대와 기업이나 개인에게 전산설비 등을 임대하고 보수하는 인터넷데이터센터(IDC)사업을 주력으로 한다. 그러나 ‘공룡 이통사’ 틈바구니에서 새 먹거리를 창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신규사업으로 세종텔레콤은 올 상반기 내 블록체인을 활용해 디지털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솔루션을 내놓을 계획이다. 세종텔레콤이 보유한 통신 인프라와 블록체인을 통한 투명한 실거래 인프라를 구현하면 참여자는 금융, 콘텐츠, 부동산, 에너지, 암호화폐,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자산을 사고팔 수 있다는 게 세종텔레콤의 설명이다. 임기채 세종텔레콤 전략사업본부 부사장은 “세종텔레콤과 함께 하는 개인,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산·학계 참여자를 발굴해 각 분야별 협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공유 경제를 구축 및 확장하는 일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인증된 모든 영역의 디지털 자산 거래에 활용될 계획이며, 향후 정부 정책에 따라 변경 운영이 가능하다.
통신인프라만 보자면 세종텔레콤은 확실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고속전국망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전국의 광케이블 중 85%를 세종텔레콤이 소유하고 있다. 국내 3대 이통사도 광케이블망은 세종텔레콤에 임차해 사용하고 있다. 제 4이동통신 사업자 허가 분위기가 나올 때마다 세종텔레콤이 수혜기업으로 분류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다만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자산거래솔루션의 개념이 구체적으로 와 닿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세종텔레콤 측은 “기존에 보유한 우수한 통신 인프라와 서비스 노하우가 블록체인 기술을 만나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종텔레콤은 지난해 8월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통해 총 1,800억원의 자본을 확충했다. 이에 따라 현금성 자산규모는 2016년 180억원에서 2017년 2,234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세종텔레콤은 전체 자금 중 지구국 설비에 해당하는 국사 보완과 노후설비 대체 등 기존 사업 시설 보강에 최우선으로 투입했다고 밝혔다. 두 번째 우선순위에는 가장 많은 비중인 약 30%를 회선료 등 각종 수수료를 내거나 부채를 상환하는 데 쓰고 있다.
세종텔레콤은 그 밖에 핀테크 사업인 ‘세종페이’, 보안솔루션인 ‘트로이컷’을 비롯해 영상감시사업과 하반기에 런칭할 예정인 커머스 사업에 활용하기로 했다.
특히 간편결제사업인 세종페이는 경쟁업체가 개인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달리 중소상공인 등 판매자를 겨냥한 서비스다. 카드결제기나 별도의 결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소비자와 비대면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온라인쇼핑몰, 방문판매, 여행사 및 숙박업, 교육업, 배달업, 대리운전업 등으로 고객을 확장하고 있다. 그 밖에 알뜰폰 서비스인 ‘스노우맨’은 가입자가 2011년 40만명에서 2017년 752만명으로 급증했다.
세종텔레콤은 2016년 제4이통사 사업자 허가를 신청했지만 적격기준에 미달해 떨어졌다. 정부도 임기 초반에 비해 제4이통사 동력이 낮아졌다는 평가다.
다만 세종텔레콤은 우리와 통신시장이 비슷한 일본에서 최근 알뜰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업체인 라쿠텐의 이통사 진입을 허용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세종텔레콤 관계자는 “제4이통사는 사업자의 의지만으로는 힘든 게 현실”이라면서도 “정부가 추진하는 보편요금제만으로는 이통사 경쟁구도 변화와 소비자 편익을 증대할 수 없는 만큼 환경이 변화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