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워라밸이라더니… 국민들 갈수록 술 더 먹는다

성인 월간음주율 2005년 조사이래 최고

남성 52%ㆍ여성 25% '월 1회이상 폭음'

흡연율 지표는 개선… 남성 38.1%로 최저

최근 우리 사회에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열풍이 불고 있다지만 국민들은 오히려 더 술을 찾고 있는 나타났다./이미지투데이최근 우리 사회에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열풍이 불고 있다지만 국민들은 오히려 더 술을 찾고 있는 나타났다./이미지투데이



최근 우리 사회에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열풍이 불고 있지만 음주 행태는 계속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성인 남성 2명 중 1명, 여성 4명 중 1명은 월 1회 이상 폭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인 남성 흡연율은 38.1%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고 간접흡연 노출률도 감소하는 등 흡연 지표는 개선됐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11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건강검진 결과와 면접을 통해 얻은 전국 4,416가구, 1만명의 건강 수준 분석 결과다. 우선 회식 문화를 자제하는 등 술자리를 줄이려는 움직임에도 우리나라 국민들은 오히려 더 술을 찾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19세 이상 성인의 월간음주율(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음주)은 62.1%로 2005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았다. 남성의 월간음주율은 74.0%였다. 여성은 50.5%로 지난해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고위험 음주율(1회 평균 음주량이 남성 7잔, 여성 5잔 이상이고 주 2회 이상 음주)도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한 14.2%(남성 21.0%, 여성 7.2%)에 이르렀다. 특히 월간 폭음률(최근 1년 동안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성 7잔 또는 맥주 5캔, 여성 5잔 또는 맥주 3캔 이상 음주)은 39.0%에 달했다. 남성과 여성의 월간 폭음률은 각각 52.7%, 여성 25.0%였다.

연령별 폭음률을 보면, 남성은 20대(54.8%), 30대(57.9%), 40대(59.1%)가 모두 50% 이상이었다. 여성은 20대(45.9%)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폭음률도 계속 증가하는데 이는 사회활동 증가, 술을 기호식품으로 여기는 문화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19세 이상 흡연율(평생 담배 5갑 이상 피웠고 현재 담배를 피움)은 22.3%로 전년보다 1.6%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1998년 이래 최저치다. 국내 흡연율은 1998년 35.1%에서 점점 하락해 2014년 24.2%로 떨어졌고, 2015년 1월 담뱃값 2,000원 인상의 영향으로 그해 22.6%까지 하락했다. 2016년 23.9%로 반등했다가 지난해 다시 떨어진 것이다. 남성 흡연율은 전년보다 2.6% 하락한 38.1%로 역시 역대 최저치다. 여성 흡연율은 6.0%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떨어졌다.

관련기사



질병관리본부는 “해외 사례를 보면 담뱃값이 인상되면 그 충격으로 흡연율이 내려갔다가 다시 살짝 올라간 후 안정적인 추세를 찾아간다”며 “이번 흡연율 하락은 담뱃값 인상 요인과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소매점에 깔린 흡연경고 그림 효과가 더해진 결과로 본다”고 설명했다.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노출률은 직장 실내 12.7%, 가정 실내 4.7%, 공공장소 실내 21.1%로 전년보다 모두 낮아졌다. 전자담배 사용률은 2.7%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높았다.

지난해 성인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25 이상)은 34.1%로 전년보다 0.7%포인트 떨어졌다. 남성은 5명 중 2명(41.6%), 여성은 4명 중 1명(25.6%)이 비만이었다. 만 30세 이상의 비만율은 35.5%(남성 42.4%, 여성 27.7%)였다. 남성 비만율은 30대가 46.7%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40대(44.7%), 50대(44.3%)였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 20%를 넘어섰다. 30세 이상의 유병률은 21.5%(남성 20.0%, 여성 22.6%)였고, 여성 50대(31.7%), 60대(41.4%), 70대 이상(42.6%)이 특히 높았다.

30세 이상 고혈압 유병률은 26.9%(남성 32.3%, 여성 21.3%), 당뇨병 유병률은 10.4%(남성 12.4%, 여성 8.4%)였다. 40세 이상의 폐쇄성폐질환 유병률은 11.6%였다.

이처럼 국민건강에 적신호가 켜졌지만 운동은 갈수록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소 신체활동(1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혹은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실천) 실천자는 2명 중 1명(남성 50.6%, 여성 46.6%)으로 최근 3년간 계속 감소 추세다. 주관적 건강 인지율(평소 건강이 ‘매우 좋다’ 혹은 ‘좋다’고 생각)은 29.2%, 스트레스 인지율(평소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낌)은 30.6%였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