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시그널] 한국형 특허괴물’(?)...진화하는 지식재산 투자

특허침해 기업에 소송 벌여 수익확보

특허담보로 대출한 뒤 출자전환 전략도

'특허수익화' 인식 낮아 아직은 걸음마

2215A23 모태펀드 내 특허계정펀드 규모



특허·브랜드·디자인·영업비밀 등에 돈을 대는 지식재산(Intelletual Property·IP)투자가 진화하고 있다. 예전에는 정부가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정책 색채가 강했다면, 최근에는 민간이 들어오며 투자 수익과 기업 성장을 함께 도모하는 추세다.

2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나금융그룹은 지난해 말 출범한 기업형벤처캐피탈인(CVC) 하나벤처스를 통해 1,000억원 규모로 벤처펀드를 조성하고 있다. 하나금융지주를 비롯해 재무적투자자와 정보통신(IT)기업 등 전략적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유치 중이다. 하나벤처스는 변리사 출신으로 IP펀드를 운용해본 강훈모 이사를 영입하는 등 여타 VC와 차별화하겠다는 전략이다. 강 이사는 IP전문 운용사인 ‘아이디벤처스’에서 IP펀드를 운용한 경험이 있다.


하나벤처스 관계자는 “IT나 바이오 벤처기업에 특허를 포함한 IP는 중요한 투자 요소”라면서 “특허에 대한 사업성 판단과 특허를 둘러싼 분쟁, 관리 등에서 다른 VC보다 전문성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하나벤처스는 중장기 투자전략으로 IP를 활용한 투자도 검토하고 있다.

흥국증권은 2017년 말 특허청 산하기관에서 전문가를 영입해 증권업계 최초로 특허투자팀을 신설했다. 좋은 특허를 가진 기업에 투자하면, 투자금의 일부는 특허를 침해하는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거는 데 쓴다.


2012년 설립한 아이디벤처스는 민간에서 최고로 IP펀드를 설정해 최근 1호 펀드 청산을 앞두고 있는 이 분야 강자다.



아이디벤처스는 IP를 가진 기업에 일종의 전환사채(CB)형태로 투자한 뒤 출자 전환해 기업 성장 시 이익을 공유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IP가 제대로 활용되지 않았을 때 손실위험은 크지만 제대로 사업화가 되더라도 수익이 적은 단점을 주주가 되어 보완하는 것이다.

연구소나 대학을 도와 특허 출원에 따르는 비용을 투자하고 이를 활용하려는 해외 IT 기업에 파는 전략도 펴고 있다. 아이디벤처스와 KB인베스트먼트, 포스코기술투자는 2015년 고화질 동영상 압축기술인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특허에 30억원을 투자했다. 당시 특허 가치는 60억원으로 산정되었고, 국제 표준 특허로 등록되었다. 2017년에는 글로벌 IT기업에 매각되며 투자자들은 연 환산 순수익률(irr) 기준 10%를 가져갈 수 있었다.

저평가된 특허를 찾아내 수익화하는 투자기업인 ‘아이디어허브’ 는 사물인터넷 관련 표준 특허를 보유하면서 미국의 방산기업 허니웰, 스마트 주차 솔루션 기업인 스트리트라인 등으로부터 로열티 수익을 내고 있다. 한국성장금융도 올해 2·4분기 IP투자 전략을 포함한 기술금융 펀드를 1,250억원 규모로 조성해 마중물 역할을 맡는다.

해외에서는 벤처기업의 특허를 사들인 뒤 특허를 침해하는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벌이는 ‘특허괴물’ 전략이 익숙하다. 미국의 퀄컴 등은 이 같은 전략을 대규모로 펼치는 기업이다. 미국에서는 특허괴물에 투자하는 펀드와 이를 방어하는 전문기업까지 등장해 삼성전자가 가입하는 등 성장했지만 국내에서는 초기 단계다. 최근에는 국내외 업계에서 특허괴물이라는 단어가 주는 어감 때문에 특허 수익화란 용어를 쓰고 있다.

민간이 들어오긴 했지만 국내에서 아직 특허 투자는 투자자 설득이 쉽지 않다. IP펀드의 한 관계자는 “특허침해 기업에 소송을 거는 투자전략은 납품 관계를 의식한 중소벤처기업이나 평판을 의식한 대형 기관투자자가 꺼리는 방식”이라면서 “국내도 해외처럼 제대로 된 특허출원 체계가 잡히고, 특허 수익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중소벤처기업에도 새로운 자금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세원 조윤희기자 why@sedaily.com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