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세계 성장과 교역간 연계성 약화 배경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지난 2012~2018년 중 세계경제 성장률은 평균 3.5%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2년부터 2007년 평균(4.8%)보다 1.3%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같은 기간 세계교역 신장률은 7.7%에서 3.5%로 내리면서 하락 폭이 더 컸다. 한은은 “금융위기 이후 세계 성장률과 상품교역 증가율 간 상관계수가 하락했다”며 “인과관계 검증 결과도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관계로의 전환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그 이유로 글로벌 분업체제 약화와 지식집약화 진전 등을 들었다. 우선 금융위기 이후 중국을 중심으로 신흥국에서 임금 상승과 기술 향상, 내수 확대 현상이 나타나면서 선진국의 기술·자본과 신흥국의 저임금이 결합한 수직적인 글로벌 분업체제가 이완됐다고 평가했다.
또한 정보기술(IT) 산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의 지식집약화로 전통적인 수익(부가가치) 배분 체계가 재편됐다고 지적했다. 선진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4차산업 분야로 대변되는 혁신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과점하면서 신흥국의 고수익 부문 진입을 차단하고 고부가가치 부분의 수익을 독차지하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지식집약화가 진전된 상황에서는 제품기획·디자인·연구개발(업스트림 구간) 부문과 마케팅·유통(다운스트림 구간) 부문은 고수익을 누리지만, 제품의 조립·가공 부분은 낮은 수익성에 머문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대외부문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는 중간재 수출 중심의 대(對)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며 “고부가가치 영역인 디자인·연구개발 및 마케팅·유통 부문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