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건설현장서 타워크레인 3,000대 멈춘다

양대 노조, 사고위험 높은 소형 퇴출 요구 오늘 무기한 파업

상반기 8건 사고·3명 사망 내세우지만 '밥그릇 싸움' 지적도

건설업계, 공기 연장·대체장비 투입 등 피해 불가피해 긴장

한국노총·민주노총 양대 타워크레인 노조가 나란히 파업에 들어가면서 전국 건설현장에 있는 타워크레인 약 3,000대가 일제히 멈춘다. 노조는 임단협 쟁점 외에도 최근 급속도로 사용이 늘고 있는 소형 타워크레인에 대해 운전자격 요건과 제원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사고위험이 높다며 철폐를 요구하고 나섰다. 건설 업계는 건설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총파업으로 공기 연장과 대체장비 투입 등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긴장하고 있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타워크레인분과, 한국노총 연합노련 타워크레인조종사노조는 3일 각각 서울과 세종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4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파업에 참여하는 양 노조원 2,300여명은 3일 오후 5시경부터 개별 타워크레인에서 고공 농성에 들어갔다. 이원희 타워크레인조종사노조 홍보국장은 “민주노총 조합원 1,500명, 한국노총 조합원 800명이 참여할 예정이고 비조합원 조종사들도 다수 참여해 최대 3,000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사실상 전국 건설현장의 타워크레인이 모두 멈추는 셈”이라고 밝혔다.

전국 타워크레인 총파업을 하루 앞둔 3일 서울 시내 공사장에서 작업이 진행 중이다. /성형주기자전국 타워크레인 총파업을 하루 앞둔 3일 서울 시내 공사장에서 작업이 진행 중이다. /성형주기자



건설노조는 임금 7% 인상, 하계휴가 탄력적 운영, 현장 휴게실 설치조건 완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양대 노총 모두 초점은 모두 소형 타워크레인의 사용금지다. 타워크레인조종사노조는 “올해 들어 소형 타워크레인에서만 8건의 사고가 났고 3명이 숨졌으나 정부에서는 어떤 대책도 없다”며 “소형 타워크레인이 작업 중 무자비하게 꺾이고 부러지고 전도되는 등 예측 불가능한 사고를 유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전국에 등록된 소형 타워크레인은 지난해 말 기준 1,808대다. 전문 자격자가 아닌 20시간 교육만 이수하면 조종할 수 있고 제원 기준도 ‘최대 인양하중 2.9톤’이 전부라 불법 개조된 소형 타워크레인이 전국에서 운영 중이라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사측인 한국타워크레인임대업협동조합은 “소형 타워크레인을 건설사와 계약하지 못하게 하는 행위는 사업자의 영업 기본 틀까지 침해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일각에서는 건설경기 침체로 타워크레인 기사들의 일자리가 줄어든 가운데 소형 타워크레인 때문에 더 설 자리가 줄어든 것도 파업의 배경으로 제기한다. 건설노조의 한 관계자는 “타워크레인분과 조합원 40%가 실업 상태”라며 “전문자격도 필요 없는 소형 타워크레인이 무분별하게 늘면서 타워크레인 기사들의 일자리도 줄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건설 업계는 가뜩이나 건설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파업이 장기화하면 현장별로 하루 수억~수십억원씩 손해를 입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대형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타워크레인이 멈추면 골조공사가 지연될 수밖에 없고 후속 공정도 줄줄이 미뤄진다”며 “파업이 장기화하면 전국 모든 현장에서 문제가 생길 것이고 공정지연 예방을 위해 대형 중장비 등 대체장비를 투입해야 해 현장의 원가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청업체인 건설사와 건설노조 사이에 낀 타워크레인 임대업체들도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공사지연 위기에 놓인 건설사들은 ‘어떻게든 작업을 해야 한다’며 압박하고 있지만 타워크레인의 경우 노조법상 대체근로자를 투입하는 일 자체가 불법이어서 대체인력조차 투입하지 못하고 있다. 한상길 한국타워크레인임대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원청업체에서는 ‘대체인력을 투입하라’고 압박하지만 타워크레인 업체 입장에서는 노조에 고발당할 게 뻔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박준호·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