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정책

머리는 산업부-몸통은 중기부가 맡아…산으로 가는 스마트산단

[부처 '밥그릇 싸움'…멈춰선 미래사업]

☞산업부-AI 등 고도화

☞중기부-인프라 구축

2415A04 스마트02



“제조 현장은 다들 죽겠다고 난리인데 기업인 입장에서는 예산을 어느 부처가 가져가든 일절 관심이 없어요. 현장을 누가 제일 잘 아는지, 어느 부처가 제조업이 마주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높은지를 따져 예산을 쓰고 부처끼리 도우면 되는 거죠. 하루하루 시간은 흐르는데 답답하기만 합니다.”

반월·시화산단에 입주한 기업인 A씨는 23일 서울경제와의 전화 통화에서 이렇게 말하며 진척이 없는 스마트 산업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냈다. 스마트산단 조성사업은 인터넷과 통신연결을 바탕으로 한 제조혁신으로 대·중소기업 간 협업,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데이터의 통합 등이 기반이 돼야 한다. 그만큼 하나의 컨트롤타워 아래에서 유기적이고 연속적인 부처 간 협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간 이해가 엇갈리며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HW·SW 통합 등 기반 우선인데

산업-중기부 엇박자에 진전 없어

막대한 예산집행도 갈등불씨 한몫




스마트산단 및 스마트공장 조성을 놓고 잡음이 나오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우선 두 부처가 ‘머리’와 ‘몸’을 따로 나눠 가졌다는 점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꼽힌다. 정부는 제조업 스마트화와 신산업 육성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세계 4대 제조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각오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과 2030년까지 스마트산단 20개 구축을 제시한 바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연내 국가 인공지능(AI) 전략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AI 팩토리 2,000개를 구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문제는 스마트공장 보급과 확산 등 인프라를 구축하는 역할은 중기부가 맡기로 한 반면 AI나 사물인터넷(IoT) 등을 기반으로 기계산업 관련 기술을 개발하거나 차세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등을 통해 산단을 고도화하는 업무는 산업부가 담당한다는 데 있다. 스마트공장 및 산단 조성을 위한 머리는 산업부가, 팔과 다리 등 몸통은 중기부가 담당하면서 일사분란하게 정책을 실현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당초 지난 10일 반월공단에서 개최하기로 예정됐던 스마트산단 출범식이 무기한 연기되는 등 사업 자체가 표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처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부처 간 이견은 전혀 없으며 서로 협의를 통해 잘 진행하고 있다”며 우려를 불식시키려 하고 있지만 부처 내부는 물론 산하기관 관계자 사이에서도 이 같은 갈등설은 일파만파로 퍼지는 분위기다. 이와 함께 산업부 산하의 청에서 부처로 승격한 중기부의 위상 정립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중기부의 위상이 변했음에도 산업부 내부에서는 과거의 관계를 털어내지 못해 주도권 다툼이 정리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스마트공장 사업은 산업부 내 별도 팀에서 진행했지만 현재는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과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다 최근 스마트산단 사업까지 추가되면서 관련 예산이 해를 거듭할수록 커지고 있다는 것도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주된 이유로 지적된다. 중기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스마트공장 사업에 배정된 예산은 2017년 653억원에서 올해 4,139억원(추경 포함)으로 6배 이상 늘었지만 산업부 관할인 스마트공장 인프라를 위한 기계산업기술 개발 등 관련 사업은 예산이 줄거나 정체된 상태다.

美·獨 등 제조4강은 다양한 협업

“컨트롤타워로 유기적 논의 필요”



전문가들은 미국·독일·중국·일본 등 ‘제조 4강’이 스마트공장 기반의 제조혁신을 위해 부처 간 이기주의를 벗어던지고 다양한 방식의 협업을 실험하고 있다는 점을 배워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임채성 건국대 경영대학 교수는 “해외에서도 부처 간 협업이 원활하지 않는 관료제의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 시범산단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테스트베드를 추진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정부가 로드맵을 내걸면 부처 간 중복 업무를 재디자인하는 등 협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한편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등 일사분란하게 움직여야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배종태 KAIST 경영대학 교수도 “스마트공장은 여러 부처가 연계된 사업인 만큼 구체적으로 업무 분장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조정하는 운용의 묘가 필요하다”며 “미국도 전 부처에서 합동으로 진행하는 국정과제는 여러 부처와 기관이 엮여 있더라도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정책 소비자인 기업이나 국민이 불편하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수민기자 세종=강광우기자 noenemy@sedaily.com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