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소·부·장 국산화 위해 '중기기술혁신연구센터' 추진"

10일 이종걸-노웅래 의원 주최 토론회서 정책 공개돼

신성철 KAIST 총장 "4차 혁명시대엔 소재강국이 산업 주도"

최성율 기술자문단장"기업-학-연-관 원탁회의 상시화해야"

이종걸(왼쪽 여덣번째), 노웅래(〃열번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공동주최한 토론회에서 신성철(〃아홉번째) KAIST총장을 비롯해 정부, 산업계, 연구기관, 학계 전문가들이 ‘소·부·장기술’ 국산화 의지를 다지고 있다. /사진제공=KAIST이종걸(왼쪽 여덣번째), 노웅래(〃열번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공동주최한 토론회에서 신성철(〃아홉번째) KAIST총장을 비롯해 정부, 산업계, 연구기관, 학계 전문가들이 ‘소·부·장기술’ 국산화 의지를 다지고 있다. /사진제공=KAIST



국내 중소기업들의 소재·부품·장비(일명 ‘소·부·장’) 기술 국산화를 돕기 위해 정부와 국내 4대 과학기술원이 손잡고 가칭 ‘중소기업 기술혁신 연구센터’를 설립을 추진한다.

최성율 한국과학기술원(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장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 토론회’에 토의패널로 참석해 이 같은 계획을 소개했다. 해당 센터 설립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동추진하는 사업의 일환이다. KAIST와 광주·대구·울산과기원(GIST, DGIST, UNIST)의 기술자문단이 센터 구축을 위해 연계한다. 최 센터장은 소·부·장 기술 국산화를 위해 전략적 선택에 의한 최우선 국산화 추진품목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대·중·소기업 및 학·연·관 원탁회의를 상시화할 것을 제언했다. 또한 주력산업과 신성장동력 분야에서 개발한 기술을 실증하기 위한 테스트베드를 마련하고, 해당 기술이 상용화될 수 있도록 관련 인증 제도 구축을 활성화할 것으로 정책당국에 요청했다.


김명운 신소재산업협회장 겸 (주)디엔에프 대표도 이날 토론회 패널로 참가해 정부의 연구과제 평가 방식을 특허나 논문 외에 상업화 성과에 대한 평가 지표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정부의 연구개발(R&D) 육성정책이 기초기술 개발단계에 대해선 많은 지원을 해주는 방향으로 운영된 반면 해당 기술이 후속 상업화에 대해선 지원이 인색했다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려면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학계의 교수 및 연구원이 개발한 기초 기술을 상업화할 경우 인센티브를 주도록 제도를 정립하고 해당 상업화 R&D에 대한 자금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김 회장은 진단했다.

관련기사



패널토의에 앞서 토론회 기조발제에 나선 신성철 KAIST 총장은 대한민국이 71종의 첨단기술제품 시장에서 총 7%의 시장점유율(2017년 기준)을 기록하며 미국, 일본, 중국에 이은 4대 선도국에 올랐지만 반도체장비, 이미지센서, 통신장비, 드론과 같은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에선 미국, 일본, 중국의 선두기업들에게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크게 뒤지고 있음을 환기했다. 그 이유로 소·부·장 분야의 세계시장 규모가 첨단 완제품산업 시장규모의 1~10%에 불과해 국내 대기업들이 관심을 갖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해당 시장에 관심을 가져야 할 중소·중견기업들은 10~20년 장기간 연구개발을 해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소·부·장 산업의 특성으로 인해 재정적 부담을 감당하지 못했다고 해설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시대에선 소재분야의 산업기여율이 오르고 있고 3D프린팅 분야에선 프린터 기기 시장규모(2020년 190 달러 예상)보다 관련 소재 시장(〃25억9,000만 달러)이 더 커졌을 정도여서 소재 강국이 글로벌 산업을 주도한다고 신 총장은 지적했다. 따라서 소·부·장 산업 중에서도 세계 시장 규모가 크면서도 국내 R&D수준이 양호하고, 우수 전문인력 확보가 가능한 핵심분야를 집중 육성 대상으로 선정해 장기간 연구·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우리 정책당국이 전략을 짜야 한다고 신 총장은 당부했다. 아울러 해당 분야를 이끌 강소기업들을 육성하고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해 산·학·연 협업의 상생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생태계 구축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기업 연구원을 파견해 공동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업 캠퍼스 연구소·센터를 활성화하고, 중소기업들이 시제품 실증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대기업이 테스트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이종걸·노웅래 의원 공동 주최로 이뤄졌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